d라이브러리
"수행"(으)로 총 3,237건 검색되었습니다.
- [융복합 파트너] 배터리의 생로병사, 최장 수명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변화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서는 배터리를 분해해 각 요소를 살펴보는 파괴분석을 수행해야 한다. 이 교수팀은 독창적인 분석 방법인 ‘마이크로 대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마치 대패로 고기를 매우 얇게 잘라 내듯 리튬이온이 출입하는 전극 활물질 층을 1~10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 ... ...
- [과학뉴스] 사막개미를 닮은 앤트봇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대부분의 개미들은 페로몬을 분비해 길을 찾지만, 사막에서는 뜨거운 태양빛에 금세 휘발되기 때문에 페로몬을 이용할 수 없어요. 그래서 사막개미는 태양빛이 ... 길을 찾는다는 것을 알아냈으며, 재난 현장처럼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일을 수행하는 데 적합할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과학뉴스] 세포 행동 모방한 군집로봇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미국 연구팀이 세포의 움직임을 모방한 군집로봇 시스템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네이처’ 3월 20일자에 발표했다. 호드 립슨 미국 컬럼 ... 수 있다. 립슨 교수는 “고장 등 비상 상황에서 일부 로봇만 구동돼도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doi:10.1038/s41586-019-1022-9신용수 ... ...
- 인공강우로 미세먼지 해소될까?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과정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며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 실험을 수행해 성공 확률을 높이고 우리나라 기상 환경에 적합한 인공강우 기술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궁금증2. 미세먼지와 비는 함께 오기 어렵다?2월 27일 발표된 인공강우 실험 종합결과에 따르면, 실험 ... ...
- Part 5. 동물이 없는 동물 축제는 어떨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중 자신의 성격에 맞는 한 동물 캐릭터가 되고, 축제장 안에서는 그 동물이 되어 미션을 수행해 나가지요. 미션에 따라 생물에 대해 알아보고, 퀴즈를 풀기도 하는 식이에요. 일찍 입장한 관람객은 동물의 탈을 쓰고 축제에 참가할 수도 있답니다. 이렇게 직접 동물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동물을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기다란 막대기를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쓰러뜨리지 않고 오랫동안 세우는 놀이를 해본 적 있으신가요? 2~3초 동안 세우기도 쉽지 않습니다. 다리 하나로 균형을 유지 ...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우주김치와 태권도를 사랑한 개럿 레이즈먼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먼저 먹어 봐도 될까?” “물론이지!”개럿은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처음으로 임무를 수행한 유대인 우주인이자, 처음으로 한국 우주식품을 먹은 우주인이라는 기록을 가지고 있다. 흔히 한국 우주식품을 우주에서 가장 먼저 먹은 사람은 한국 우주인이라고 생각하기 쉬운데, 그와 나는 답을 그렇게 ... ...
- 음악 들으며 공부하면 창의력 떨어져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스레드골드 연구원은 “음악은 종류에 상관없이 창의적인 작업 수행 능력을 저해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심리분석 분야 국제학술지 ‘응용인지심리학술지’ 2월 2일자에 게재됐다. doi:10.1002/acp.353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전북대 과학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한국 근현대과학사와 남북 과학기술 비교사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 근대 과학기술인력의 출현’ ‘황우석 신화와 대한민국 과학’ ‘한국 과학기술혁명의 구조’ 등이 있다. rootkgb@jbnu.ac ... ...
- 3D프린팅, 나노세계로 줄이거나 조각하거나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생분해되는 원료로 의료용 나노로봇을 만들어 제어하면 향후 약물을 전달하는 등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최근 안 교수팀은 집속이온빔을 이용해 근육의 가장 작은 단위인 근원섬유(Myofibril)를 수백nm 크기의 구조물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안 교수는 “현재 이 구조물의 성능을 검증하고 있다”며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