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미국"(으)로 총 1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범죄놀이’, ‘선생님 때리기’ 영상이 숏폼에 공유되면서 사회 문제가 되었고 미국에서는 ‘블랙아웃 챌린지(기절놀이)’를 통해 목숨을 잃은 학생도 있었지요. 마지막 문제는 미나 예술을 감상하는 시각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될 수도 있다는 점이에요. 여러분은 만약 2시간짜리 영화를 10분 만에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약간 변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필즈상 수상자가 알려주는 챗GPT 사용법테렌스 타오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로스앤젤레스 수학과 교수 최근 자신의 SNS에 챗GPT에 관한 글을 꾸준히 올려 화제가 된 2006 필즈상 수상자 테렌스 타오 교수에게 챗GPT 사용 후기를 자세히 물었습니다. Q. 챗GPT를 어디에 주로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필수적이다. 그리고 화성의 지하에는 물이 대량 묻혀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2021년 미국 행성과학연구소와 NASA 등 공동연구팀은 화성 북반구 물 분포지도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0-020-01290-z 연구팀은 NASA의 마스 오디세이, 화성 정찰 궤도선 등이 수집한 데이터 ... ...
- [프로그래밍 언어의 역사] 인간은 실수없이 기계와 대화하고 싶어서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통과시키지 않는 ‘바느질’로 0과 1의 신호를 입력해야 했다. 바느질에 능숙한 미국 여성 노동자들이 한 땀 한 땀 구리선을 꿰어 만들었기에 ‘리틀 올드 레이디(Little Old Lady) 메모리’라고도 불렸다. 그런데 마리너 1호는 수성까지 가기는 커녕, 발사 4분 만에 파괴됐다. 비행 시스템의 코드 에러 ... ...
- [5년 후, 과학은] 효율 좋고 유연한, 에너지의 미래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UNIST)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 서울대에서 무기재료공학으로 공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코넬대 재료공학과 박사후과정, 한국화학연구원 책임연구원,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를 거쳐 2015년부터 UNIST에 재직 중이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 중 한 사람으로 에너지 ... ...
- [특집] 영화 속 장면을 현실로?! 메타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영화 의 화려한 홀로그램부터 속 무적의 방패,SF 영화에 등장하는 우주선의 트랙터 빔…. 영화 속 세상에선 현실에서 일어나기힘든 장면들이 많이 등장해. 이 모든 건 영화처럼 오로지 허구의 일일까?상상을 현실로 만들어주는 물질, 메타물질이라면 가능할지도 몰라! ... ...
- [특집] 열적 메타물질로 불꽃 슈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다양한 영역에서 쓰일 것”이라고 전망했어요. 우주를 파헤쳐줄 알파벳 F? 지난 1월, 미국 퍼듀대학교 전기공학부 주빈 제이콥 교수팀 역시 열 복사를 다루는 독특한 메타물질을 공개했습니다. 복사란 멀리서 온 태양열이 우리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처럼, 중간 전달 물질 없이도 파동을 통해 ... ...
- [만화 뉴스] 남극해의 구름이 밝게 보이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2월 1일, 미국 유타대학교와 호주 기후과학센터 공동 연구팀은 남극해의 풍부한 플랑크톤이 그곳에서 만들어지는 구름을 밝게 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플랑크톤이 신진대사를 하는 과정에서 내뿜는 황산 가스는 에어로졸● 입자를 이룹니다. 에어로졸은 수증기를 뭉쳐 물방울을 만드는 ... ...
- [가상 인터뷰] AI로 외계 생명체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5호
- 신호를 발견할 수 있었어. Q. 신호를 어떻게 분류했는지 자세히 알려줘. 연구팀은 미국 웨스트버지니아주에 있는 그린뱅크 전파망원경으로 820개의 별에서 발생한 150TB(테라바이트) 크기의 데이터를 수집했어. 이후 연구팀이 개발한 AI로 전파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했지. AI는 300만 개의 ... ...
- [피플] 독창성의 비결은 독학수학동아 l2023년 05호
- 모국에서 박사과정까지 밟았습니다. 함수를 연구하는 해석학을 전공한 그는 1973년 미국으로 건너와 미네소타대학교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합니다. 그때 2차 선형 PDE 연구를 완전히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었다고 평가받는 한스 레비 교수의 조화 분석 강의를 듣습니다. 조화 분석은 함수와 주파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