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
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3년 04호
해결 딱지가 없다면 아직 진행 중인
문제
이므로 언제든
문제
풀이에 참여한다. 해결된
문제
도 새로운 풀이가 있다면 댓글 작성 후 정답 확인 요청을 한다. 수직선 위의 점 http://www.polymath.co.kr/contents/view/37852 부분집합의 분포 http://www.polymath.co.kr/cont ...
지구 너머 화성까지?! 우주 쓰레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쓰레기가 되어 지상과 우주에서 모두에게 위협적인 존재가 되었죠. 그래서 우주 쓰레기
문제
를 해결해 인류와 우주의 평화를 지키려는 사람들이 등장했습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지구 너무 화성까지?! 우주 쓰레기part1. 내가 우주쓰레기와 충돌할 확률은?part2. 달과 화성에도 우주 ... ...
[이그노벨상] 단세포 생물에게 노선 설계 맡겼더니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노선 그리기 최적의 경로를 찾는 일은 황색망사점균은 물론, 인간에게도 매우 중요한
문제
다. 인간 세계에도 점균이 만든 튜브와 비슷한 시스템이 있으니, 바로 교통 시설이다. 인간이 만든 철도 노선이나 점균이 만든 튜브 모두 목적지(철도역 혹은 귀리 조각)로 향하는 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 ...
[SF] 끝내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세 번째 마라톤은 DNF로 기록됐고, 그것은 그의 마지막 레이스가 되었다. 객관적인
문제
는 전무했음에도 그는 다음 레이스에 나서지 않았다. 건강지표가 하나둘씩 서서히 나빠지는 동안 오래도록 집안에 머무르던 난 결국 반납됐다.그리고 다시 33km 지점을 달리고 있다. 전체 시스템을 점검해야 한다. ... ...
[지구사랑탐사대 X SK하이닉스] 내가 만든 데이터가 생물을 지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무려 150여 개 팀이 참가했습니다. 이들은 지구사랑탐사대 데이터를 활용해 기후변화
문제
를 확인했고,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는 새롭고 반짝이는 아이디어를 잔뜩 내놓았답니다. Q. 매미 데이터로 무엇을 알아내셨나요?매미는 종에 따라 영향을 받는 기상 요인이 다르고 개발된 지역일수록 종 ... ...
전 세계가 함께 추적한다! 우주 쓰레기 감시시스템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된 우주 쓰레기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해 전세계가 힘을 모으고 있죠. 우주 쓰레기
문제
해결의 시작은 바로 우주물체들이 어떻게 이동하는지 정확하게 추적하는 거예요. 주의! 위험한 우주 쓰레기가 발견됐다 우주물체를 감시하는 추적장비는 평소 자기 나라의 인공위성을 관측합니다. 궤도를 따라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로봇의 시초, 움직이는 인형 고래 오토마타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고래들은 서식지 파괴와 남획 그리고 바다 쓰레기 때문에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요. 이런
문제
를 해결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2022년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서 네덜란드 해양기술 회사 랜마린은 한 해양 쓰레기 청소 로봇을 선보여 혁신상을 받았어요. 이 로봇의 이름은 ‘웨이스트 샤크’로 약 7 ... ...
[특집] 이것들도 과학이라 부를 수 있을까? 모아봤다, 가짜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기준을 찾는 일은 과학의 본질을 다루는 유서 깊은
문제
다. 과학철학에서는 이를 ‘구획
문제
(demarcation problem)’라 부른다. 오스트리아 태생의 과학철학자 칼 포퍼는 20세기 초 ‘반증 가능한 예측과 실험이 이뤄져야 과학적인 주장’이라 말했다. 이후로도 과학철학계에서는 과학의 기준에 관한 ... ...
[특집] 가짜 과학 믿는 사람, 설득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직접 대화를 나누다 하지만 가짜 과학을 믿는 다른 사람을 설득하는 것은 또 다른
문제
다. 사람의 믿음을 바꾸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그 믿음이 허무맹랑한 음모론이나 청부과학처럼 보인다 하더라도 마찬가지다. ‘지구 평면설’을 들어보았는가? 말 그대로 지구가 구형이 아니라 평평하다는 ... ...
사람 같은 생성형 AI는 언제? MIT-IBM 왓슨 AI 연구소에 묻다
과학동아
l
2023년 04호
AI’. 그는 “현재의 AI는 2단계인 넓은 AI에도 이르지 못했다”고 말했다. AI의 윤리적인
문제
와 편향성을 극복하는 것도 과제다. 한 예로 메타(옛 페이스북)는 지난해 11월 과학자들의 논문 작성을 도와주는 과학 언어 AI 모델 ‘갤럭티카(Galactica)’를 출시했다가 3일 만에 서비스를 종료했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