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풍
마취
몽혼
몽
무감각
혼수
저림
d라이브러리
"
마비
"(으)로 총 655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인병 예방의 지름길
과학동아
l
1992년 12호
전혀 증상이 없으며 운동중이나 운동후에 사망하는 경우는 숨어있는 협심증에 의한 심장
마비
가 대부분이라는 사실을 잘 알아야 한다.사례 3 당뇨병 환자는 식후에 운동하라50대 여자 당뇨병 환자가 운동중 심한 어지럼증을 느껴 아침 일찍 응급실로 왔다. 환자는 당뇨병 환자로 당뇨병 치료를 위해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부적당한 상황에서 잠을 억제하지 못하고 나가 떨어지며 갑자기 온몸에 힘이 빠지고
마비
되는 증상이 특징이다. 때로는 웃거나 화내다가 갑자기 잠이 오고 힘이 빠지며 잠들기 직전에 꿈과 같은 환각이 나타나기도 한다. 수면시간은 대개 15분을 넘지 않고 하루에 2~6회 가량 나타난다. 주로 사춘기와 ... ...
코골기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있는 40대 돌연사도 코골기와 무관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수면무호흡증이 원인이 돼 심장
마비
를 일으킬 수 있다는 것.수면중 호흡을 멈추거나 방해받는 시간이 10초이상 지속되고(최장 2분까지)이런 경우가 한시간에 10번 이상 일어나면 그것은 분명히 비정상적인 상태다. 또 잠자다가 갑자기 경련을 ... ...
"환지(幻肢)현상은 뇌신경 때문"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설명하는 논문을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지에 기고했다.사고로 손발이 잘려나간 환자들과
마비
가 일어나 감각을 잃어버린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마치 손발이 있는 것처럼 착각을 일으키며 심지어는 구체적인 통증까지 느낀다고 호소해오고 있다.아예 선천적으로 손발이 없었던 사람까지도 ... ...
손톱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자라고 오른손잡이의 경우에는 오른손의 손톱이 속성으로 자란다.반면 팔이나 다리가
마비
됐거나 움직일 수 없게 된 경우(예컨대 깁스를 했을 때)에는 손톱의 성장이 느려진다. 이하선염이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예 감기)에 걸려도 손톱의 자람이 일시적으로 느려지거나 중단될 수 있다 ... ...
키 땅딸이가 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작으면 병에 잘 걸리지 않고, 수명도 연장된다는 속설이 있다. 반대로 키작은 여성이 심장
마비
에 걸릴 확률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키작은 사람의 동맥혈관이 좁기때문에 그런 결과가 초래된다는 것이다.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키의 장단과 건강을 직접적으로 연관시키는데 동의하지 ... ...
병을 낫게 하는 프랑스 피레네시의 온천수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1989년 말(생후 8개월 무렵)에 자동차사고를 당한 적이 있다. 그 개의 뒷다리는 완전히
마비
됐고 모두들 즉사하지 않은 것만도 다행이라고 여겼다.레시의 주인은 곧 피에르-에티엔 퓌지에라는 수의사를 찾아갔는데 여기서 레시는 기적적으로 소생했다. 심하게 다쳤던 사지가 멀쩡해졌을 뿐 아니라 ... ...
억세게 재수없는 남아공의 한 주부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않도록 정맥을 꽉 누르고 있었던 것.이렇게 겸자가 배안에 있는 동안 아브네트는 위가
마비
되는 느낌을 받았다. 걷거나 숨쉬기도 힘들었다고 한다. 아브네트는 어떻게 그렇게 큰 수술장비가 몸안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렇게 오랫동안 발견되지 않았나에 대해 놀라워한다.겸자가 배안에 있는 동안 ... ...
과장보도로 공포감만 유발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없다"는 발표를 하기도 했다. 박명순교수(고대 전산과)는 "언론의 과장보도가 오히려 업무
마비
로 인한 또다른 바이러스피해와 해커들의 바이러스개발을 자극한다"고 말했다. 박 교수는 그러나 언론의 대대적인 보도로 실제 6일과 13일에 바이러스피해가 거의 없었고 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는 ... ...
독성 동물에서 천연 항생제 얻는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독안에 든 항응고물질은 이미 몇개의 약품에 쓰이고 있다. 우리는 현재 먹이를 순식간에
마비
시켜 버리는 바다뱀의 신경독(neurotoxin)에 큰 흥미를 느낀다"고 얘기한다.뱀의 독이 의약품에 자주 활용되는 이유는 원하는 세포에 정확하게 독성물질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앞으로 파충류생화학이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