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러시아어
d라이브러리
"
러시아말
"(으)로 총 897건 검색되었습니다.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3년 전 PC통신이 유행하던 시절 재미 삼아 ‘귀신 얘기’를 써서 올리던 공학자가 있었다. 그의 글은 나중에 850만부나 팔린 책 ‘퇴마록’으로 거듭났다. ‘퇴마록’의 작가 이우혁, 그에게는 공학적 마인드로 글을 집필하는 ‘엔지니어’의 힘이 있다.“귀신 얘기가 비과학적이라고요? 하지만 귀 ... ...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한국 최초의 우주인 선발에 3만6000여명이 몰렸다. 지난 7월 14일 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우주인 후보 공모를 마감한 결과 남자 2만9280명, 여자 6926명으로 모두 3만6206명이 지원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 21일부터 인터넷사이트(www.woojuro.or.kr)에서 진행된 이번 공모에는 신세계그룹 정 ... ...
잠든 무덤에서 깨어나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중국 당(唐)나라의 역사책 ‘신당서’(新唐書) 발해전에서는 발해의 영토가 5경(京) 15부(府) 62주(州)라고 설명한다. 그 15부 중의 하나가 바로 발해의 주요 수출품이었던 말의 특산지로 유명한 ‘솔빈부’(率賓府)다. 지금으로 따지면 연해주 우수리스크 일대다.솔빈부를 가로질러 동해로 흘러드는 ... ...
과학문화의 '메디치'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17세기 과학혁명의 초석을 놓았던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자신의 책에 스스로를 다음과 같이 소개했다. ‘고귀하신 토스카나 대공 전하의 철학자이자 수석 수학자이며 피사대학의 특별 수학자이자 린체이 아카데미 회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유명한 과학자 갈릴레오가 토스카나 대공, 개인의 수학 ... ...
태권V 날개도 없이 비행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1976년 애니메이션으로 처음 등장한 태권V는 날개도 없는데 자유자재로 비행한다. 발바닥에 있는 분사구에서 불을 뿜으며 육중한 로봇이 떠오른다. 때로는 별도의 장치 없이 우주까지 무리 없이 날아간다.태권V와 비슷한 일본의 마징가Z는 날개와 제트엔진 역할을 하는 ‘제트 스크랜더’(Jet Scrander)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소련시절 영화 한편 소개한다. 제목은 ‘쁘르제발스키’다. 1951년 모스필름이 제작했다. 주인공인 ‘쁘르제발스키’는 10월 혁명 전 러시아제국에 실존했던 탐험가로 1867년 동시베리아 총독의 명을 받아 연해주 탐험을 강행했다.그의 눈에 비친 연해주는 신비와 풍요로움이 넘치는 신천지 그 자체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우주인 열풍이 불고 있다. 한국 최초의 우주인을 선발하는 온라인 공모(www.woojuro.or.kr)에 신청자가 쇄도하고 있다. 지난 4월 21일 공모 첫날 2000명을 훌쩍 넘더니 나흘 만에 1만명을 돌파했다. 2008년 4월 탄생할 첫 우주인이 누가 될지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치열한 경쟁을 뚫고 우주인이 되면 ... ...
발해인은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지난 2002년 8월 시베리아 야생호랑이를 소재로 자연다큐멘터리를 제작하기 위해 달랑 지도 한 장만 들고 연해주 소수민족인 우데게를 찾아 ‘크라스노야르’라고 불리는 시베리아 오지의 작은 마을로 향했다. 우데게족은 야생호랑이를 ‘암바’, 즉 타이가 밀림의 가장 힘센 산신으로 모시고 있었 ... ...
2008년 4월 한국 최초의 우주인되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대한민국 최초의 우주인을 찾습니다! 직접 가보기 전엔 우주는 그저 상상이지만 당신에겐 더 이상 우주는 상상이 아닙니다!” 드디어 한국인이 우주를 방문할 수 있는 길이 처음 열렸다. 지난 4월 21일 과학의 날부터 한국 최초의 우주인 모집이 공식적으로 시작됐기 때문이다. 과학기술부와 한국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특수 종이와 무선통신 기술이 결합된 최신의 디지털 펜은 손으로 쓴 데이터를 현장에서 기록하고 e메일을 보낼 수 있는 컴퓨터용 데이터로 바꿔준다. 이것은 용지작성에서 단조로움을 없애면서 공문서의 ‘발자취’를 보장한다. 생물체에 섭취된 물질의 대사속도(代謝速度)를 나타내는 지표(指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