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발
툰드라
d라이브러리
"
동원
"(으)로 총 1,125건 검색되었습니다.
빛 속도를 마음대로 주무른다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중요한 것은 아니다. 분광학에서 일반적으로 쓰였던 하나의 레이저 대신 두개를
동원
함으로써 EIT 현상이 발견됐고, Ωc를 끔으로써 빛을 가둘 수 있다는 새로운 아이디어의 도출이 어찌보면 더 중요한 듯하다. 지금 우리 주위를 돌아보자. 새로울 것은 없다. 만약 새로운 눈으로 다시 바라본다면 ... ...
Ⅰ첨단장비가 펼치는 격전의 무대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나선다. 새로운 축구복에는 기존 축구복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첨단기술과 신소재가
동원
됐다. 첨단장비라 할 만한 새로운 축구복을 만나보자.비가 올 때도 체온 조절나이키나 아디다스가 개발한 축구복에는 공통점이 많다. 한겹의 기존 축구복에서 탈피해 체온을 조절하고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 ...
빛과 전자가 만난 퓨전학문 광전자학
과학동아
l
2002년 05호
개발하는 연구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는 복잡한 양자물리와 나노기술이
동원
되기도 한다. 그런데 한교수는 나노기술의 시작을 바로 반도체 레이저로 보고 있다. 반도체 레이저가 가능하려면 10nm보다 얇은 막을 만들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광원 연구 외 다른 광전자 분야에서도 ... ...
모르는 사실이 더 많은 이웃 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잡아내 물의 존재를 단숨에 밝힌다는 것. 하지만 예상과는 달리 허블우주망원경까지 총
동원
해 루나 프로스펙터 최후의 순간을 관측했으나, 과학자들은 아무 것도 건질 수 없었다. 목표지점에서 빗나갔거나 충돌에너지가 부족해 얼음 흙에서 물이 분리되지 못했다는 등의 설명이 제기됐지만, 물의 ... ...
날씨따라 가격 변동 시키는 원격제어 자동판매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크기가 제각각일텐데 어떻게 일일이 하나씩 내보낼 수 있을까. 초보적인 로봇 기술이
동원
되면 간단히 해결된다. 아예 제품이 있는 위치로 로봇이 이동해 직접 집어내는 것이다. 이미 다양한 산업에서 보편적으로 쓰이는 로봇이 이제야 자판기로 그 영역을 확대한 셈이다. 지난해 초 키오스텍이라는 ... ...
2 최정예 후보물질 대거 선발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코드내장법 중 단연 돋보이는 기법은 ‘나노칸’(nano Kan)방법이다. 마이크로칩
동원
해 반응과정 추적나노칸 방법은 혼합분리법의 반응 매개체로 이용되는 비드 속에 마이크로칩을 내장시켜 각 반응단계를 기억시키는 방법이다. 기억용 칩을 폴리에틸렌 등의 고분자 지지체로 밀봉한 다음, 이 ... ...
망원경 렌즈 제조하는 최신 회절법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그런데 최근 전파망원경의 포물면을 만들기 위해 깎아내기가 아닌 새로운 방법이
동원
되고 있다. 기본 아이디어는 회전. 컵에 물을 넣고 숟가락으로 저으면 가운데가 오목하게 패이면서 소용돌이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숟가락으로 말고, 그냥 컵을 회전시킨다면 물의 표면은 어떤 ... ...
칼 포퍼 과학적 발견의 논리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발견의 논리’는 철학과 논리의 문제를 수열과 확률, 그리고 양자역학의 개념을
동원
해 전개하고 있어서 일반인들에게는 만만치 않은 책이다. 하지만 현대 과학철학의 분수령을 경험하고 싶은 독자들에게 이 책은 더 없이 좋은 기회를 제공해줄 것이다.포퍼의 생각을 염두에 두고 우리 사회를 한번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이후 새로운 탐사방법이 사용됐다. 미국과 옛소련에서 레이더 관측과 풍선 탐사 방법을
동원
해 금성의 베일을 벗겼다. 이들의 성공 뒤에는 좌절과 실패를 넘어선 숨겨진 이야기들이 있다. 1970년대와 1980년대 초 옛소련이 개발한 베네라 탐사선의 잇따른 착륙성공으로 두꺼운 장벽을 넘어 금성의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급격한 기상 현상을 포착해 따라가면서 분석할 정도다.발달한 기상을 물 문제 해결에
동원
하는 일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기상예측 정보를 활용하는 강우-유출모형을 만들어 연구중이다. 강우-유출모형이란 하늘에서 내린 빗물이 지표면에 도달해 어느 정도의 양이 지하로 스며드는지,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