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우두머리
두목
지휘관
거수
리더
팀장
왕초
d라이브러리
"
대장
"(으)로 총 62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전자 알아야 오래 산다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세포주기에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심지어는 제거까지 한다.유전자 자체의 돌연변이가
대장
암 등의 많은 암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은 당연하다. 최근 전립선염의 한 원인 유전자로 알려진 GSTP1도 변이된 유전자의 산물이 돌연변이의 원인이 되는 자유반응기를 잘 처리하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알려지고 ... ...
유인원과 함께 산 세여자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풀을 먹는 온순한 사회적 동물) : 고릴라는 등에 회색털이 나 있는 (silverback이라고 함)
대장
수컷을 중심으로 40여마리 정도가 무리져 다니는 사회적 동물이다. 초식동물인 고릴라는 과일, 쐐기풀, 야생샐러리, 대나무 가지를 먹는다. 다 성장한 고릴라는 하루에 30kg의 풀을 먹어치운다. 겉모습과는 ... ...
공포의 식중독 일으키는 O-157
대장
균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베로톡신의 독성을 없애는 치료법이 개발돼 화제가 되고 있다. 지금까지 오-157
대장
균에 의한 식중독에 대처하는 치료법은 장내의 균을 죽이는 항생물질을 투여하거나 베로톡신 독소를 제거하기 위해 혈장교환이나 인공투석을 하는 방법밖에 없었다.캐나다 소아신질환센터에서 연구하고 있는 ... ...
2. 다이어트 섬유소·단백질·시트로산
과학동아
l
1996년 10호
69년 평균 섬유소 섭취량이 24.5g으로 별 문제가 없었는데, 1990년도에는 17.3g으로 감소했다.
대장
의 정상적인 기능을 위해 섬유소 섭취에 신경을 써야 한다는 말이다.최근에는 섬유소가 첨가된 음료들이 다이어트 제품으로 각광받고 있다. 섬유소는 수분을 흡수하면 팽창하는 성질이 있다. 따라서 ... ...
한라산 나비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모이자
대장
의 눈동자가 동그래졌다. “탐사에 반바지와 반팔셔츠라니.” 이강운탐사
대장
의 충고를 무시한 대원들은 햇빛에 화상을 입고 벌레들에게 헌혈하는 고통을 마지막 날까지 감수해야 했다.해발 1천4백m에 있는 사제비동산에 오르는 길목은 숲이 우거져 하늘을 볼 수 없었다. 상큼한 ... ...
2. 몸 곳곳을 누비는 통증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식도로 넘어와 자극하면 가슴골이 아프게 된다. 소장에 탈이 나면 배꼽 주위가 아프며,
대장
에 이상이 있을 때 배꼽 아래에 통증을 느낀다(그림3). 이처럼 장기가 해로운 자극을 받아 생긴 통각이 장기 자체가 아니라 멀리 떨어진 피부까지 미치는 현상을 연관통(referred pain)이라 부른다. 장기에서 ... ...
당신의 체형은 정상인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어깨가 쳐지면 심장이 눌리면서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한다.또 한쪽 다리만 길면
대장
과 소장이 처지면서 변비나 설사가 계속되기도 한다. 양쪽 다리의 길이가 다른 것은 구두 뒷굽의 마모 정도로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김회장은 "비대칭적인 몸을 바로 잡는데는 몸을 균형적으로 만들어주는 ... ...
위에 있는 또하나의 뇌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매일 아침 10시 환자들은 관장을 하지 않았는데도 변을 보았다. 결국 간호사가 환자들의
대장
을 훈련시킨 것일까. 아직 의문은 풀리지 않고 있다.옛날부터 사람들은 창자에 좋고 싫은 여러가지 감정이 담겨있다고 믿었다. 아마도 두뇌의 감정 상태가 소화관의 뇌에 반영되고 사람들은 그것을 느끼는 ... ...
2. 인터넷 엑스포 운영위원장 전길남박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山)에 대한 끝없는 의지를 봐도 잘 나타난다. 그는 지난 80년 유럽 3대 북벽 등반대의 등반
대장
이기도 했고, 이보다 앞서 76년에는 우리나라 사람으로 처음으로 맥킨리를 등반한 바 있다.골치 아픈 일에 몰두해 있다가도 2년에 한번은 어김없이 히말라야를 찾는 것이 커다란 즐거움이었지만 ... ...
3. 열강들의 무혈전쟁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지낼 9차 월동대가 떠날 채비를 하는라 매우 분주했다. 일부는 이미 출발했지만 월동
대장
인 김예동박사는 뒷수습을 하고 있었다. 지금쯤 세종기지에서 남극생물을 연구하고 있을 강성호박사는 “가족과 1년이상 떨어져 있을 생각을 하니 무척 외로울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고 말했다. 그러면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