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부사람"(으)로 총 2,5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1월 12일 오전 9시, 부산에 위치한 해군 작전사령부. 세종대왕함에서 500m 떨어진 부둣가에 노란 출입통제선이 쳐졌다. 선 너머로 다이버 네 명이 잠수를 준비하고 있었다. 해군 헌병단 수중과학수사대의 훈련현장이다. 고무보트 한 정이 부두 주변을 바쁘게 움직이며 안전을 점검했다. 영하 1℃의 날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김윤신 조선대 의학전문대학원 법의학교실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수중시체를 가장 많이 검시한 법의학자 중 한 명이다. 그는 1998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입사해 법의학과장, 서부분소장을 거쳐 2009년 퇴임할 때까지 10년 넘게 검시를 했다. 그동안 호남(전북, 전남, 광주) 일대에서 발생한 수중시체 ... ...
- Part 4. 그들은 더 완벽한 우주이론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1. 지하 700m서 암흑물질 캔다지난 12월 7일 오전 11시. 기자는 땅속 동굴로 들어가고 있었다. ‘빛이 없는 곳에서 빛을 찾는 실험실’을 보기 위해서.“표지판 보이시죠? 지상에서 1.8km를 내려왔습니다.” 기자를 안내한 강운구 기초과학연구원(IBS) 지하실험연구단 연구위원은 자동차 앞유리 너머에서 ... ...
- [Tech & Fun]‘착한 패딩’을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1호
- 패딩 점퍼의 계절이 돌아왔다. 두툼한 구스 다운 패딩은 든든하고 따뜻하지만, 동물 학대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그렇다고 패딩을 포기할 수는 없는 일. 동물과 환경을 해치지 않으면서도 따뜻한 겨울을 책임져 줄 ‘착한 패딩’은 없을까?이맘때 불티나게 팔리는 구스나 덕 다운 패딩은 거위나 ... ...
- [Tech & Fun]걸어서 대형연구소 속으로 ➊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영화 ‘해리포터’의 9와 4분의 3 승강장이 있는 런던 킹스크로스 역을 나와 정면에 있는 기차역 건물 하나를 통과하면 영국국립도서관 오른쪽으로 은빛 건물이 보인다. 유럽에서 가장 큰 생명과학연구소인 ‘프랜시스 크릭 연구소(이하 크릭 연구소)’다. 크릭 연구소는 외관부터 압도적이다. 2층 ... ...
- [지식]2억 년 뒤 세계지도는? 대륙 퍼즐 맞추기수학동아 l2016년 01호
- ‘뜨거운 시럽’ 맨틀에 뜬 ‘사탕’ 같은 대륙1960년대 들어 과학자들은 대륙이동설보다 훨씬 자세히 지질활동을 설명하는 ‘판구조론’을 세웠다. 전 세계 지표면은 몇 개의 판으로 나뉘어 있으며, 판이 널빤지처럼 움직인다는 이론이다. 판은 서로 부딪치거나 멀어지면서 지진이나 화산을 일으 ... ...
- [News & Issue]독성물질로 프린트 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 그릇을 떠올려보자. 만약 이 그릇을 불이 켜진 가스레인지 위에 올려놓으면 어떨까. 플라스틱은 금세 녹아 내리며 고약한 냄새와 함께 연기를 내뿜을 것이고, 건강에 매우 나쁜 영향을 미칠 것이다. 최근 몇 년 사이에, 비슷한 일이 도처에서 벌어지고 있다. ... ...
- Part2.커피잔 속에서 우주의 원리를 보다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직장생활 4년차 김 대리에게는 점심식사 후 회사 옥상에서 커피 한 잔을 마시며 이런저런 잡생각에 빠지는 시간이 유일한 낙이다. 희뿌연 도시의 스카이라인을 바라보며 멍하니 있다 보면 엉뚱한 생각이 꼬리를 잇는데, 팍팍한 일상을 잊게 하는 나름의 맛이 있다. 오늘도 따뜻한 커피 컵을 손에 ... ...
- [Tech & Fun]광물이야기11 ‘생얼’이 더 아름다운 광물 형석(Fluorite)과학동아 l2016년 01호
- 나태주 시인이 쓴 이 시구는 많은 사람들의 사랑을 받았다. 눈에 보이는 겉모습을 중시하는 이 사회에서, 실은 누구나 사랑받을 만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는 ‘본질’을 알려주기 때문이 아닐까.필자에게도 이런 깨달음을 주는 광물이 있다. 바로 ‘형석’이다. 형석은 칼슘과 불소가 결합한 할 ...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과학동아 l2016년 01호
- 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 그 내용은 잘 모르더라도 한 번쯤은 들어본 이름이다.하지만 표준모형은 낯설다. 이름을 들어본 사람이 많지 않다.“표준모형이요? 잘 모르겠는데요?”물리학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후배(실험물리 전공)에게 물었더니 이런 답이 돌아왔다. 몇몇 이공계 대학생들에게 물어봤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