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Q. 안전하다 vs. 아니다 왜 엇갈리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핵종 제거 장치를 사용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반감기도 12.3년으로 길어 오랜 기간 물에
남아
있게 됩니다. 현재 후쿠시마에 저장된 오염수의 삼중수소의 농도는 배출할 수 있는 기준(6만Bq/L)보다 약 10배 가량 높습니다. 방사성 물질이 없는 깨끗한 물을 다량 투입한다면 이 농도를 낮출 수는 있을 ... ...
[수학동아 10주년 특별인터뷰] 창간호부터 함께 한 수동키즈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기억에 남는 기사가 있나요?2010년과 2014년 세계수학자대회(ICM) 관련 특집이 가장 기억에
남아
요. 평소 수학동아는 여러 연령층의 독자를 고려하다 보니 기사에서 다룰 수 있는 수학 난이도가 한정적일 수밖에 없고 최신 연구 동향, 현대 수학자에 대한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것 같아요. 반면 ICM ... ...
[GO! GO! 고고학자]유물의 나이를 알아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왕흥사가 있어요. ‘있었다’고 하는 게 정확하겠군요. 지금은 절의 터만
남아
있거든요.
남아
있는 것이라고는 건물의 주춧돌만 보이는 상황. 고고학자는 왕흥사가 언제 세워졌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유적과 유물이 언제 만들어졌는지 파악하는 일은 고고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해요. 어떤 물건이 ... ...
몸속으로 들어간 바다의 보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섞어서 뼈가 부러진 부위에 발라놓으면 뼛가루가 혈액에 쓸려가지 않고 그 자리에 계속
남아
뼈의 재생을 돕기도 한답니다. 홍합의 단백질은 접착성이 우수하다면, 말미잘의 단백질은 늘려도 잘 끊어지지 않는 단단함을 갖고 있어요. 차형준 교수는 말미잘이 자신의 몸길이를 10배 이상 늘이는 ... ...
Q. 원전은 멈췄는데 오염수는 왜 자꾸 늘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유입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일부 언론 보도에서는 원전 운영사인 도쿄전력이 원전 안에
남아
있는 핵연료를 냉각시키기 위해 물을 계속 주입해서라고 설명하지만, 사실이 아닙니다.김성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방사선평가실 책임연구원은 “매일 증가하는 오염수 170t 중에 냉각수는 포함돼 있지 ... ...
산불로 출동한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다행히 크게 번지지 않아 금세 진화를 하고, 혹시 몰라 순찰을 돌고 있었지요. 그런데
남아
있던 불씨에서 다시 불이 나서 능선을 타고 올라가더라고요. 겨울이라 건조하고 바람도 세서 긴장하고 신속하게 진화 작업을 했지요. 전 세계에 산불이 생중계될 뻔한 것을 막았다고 생각하면 아직도 ... ...
고추 vs. 마라 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마라탕을 먹으면 혀에서 먼저 매운맛을 느끼기 시작해 얼얼한 느낌이 입천장과 입술에
남아
있다가 사라지는 것이다.어떤 재료와 함께 요리하는지도 매운맛의 강도에 영향을 미쳤다. 연구팀에 따르면 산쇼올을 소금이나 MSG(아미노산계 조미료) 등과 섭취했을 때는 맛을 느끼는 데 큰 영향을 주지 ... ...
26개 뼈와 33개 관절의 정교한 하모니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뒤 여아는 약 14세,
남아
는 약 16세가 되면 거의 성장이 멈춘다. 아치의 성장도 여아가
남아
보다 빠르고 일찍 완료될 수 있다는 뜻이다. "발의 아치 구조는 보통 10~12세경 완성된다.하지만 사람마다 성장 속도에 차이가 있고, 그 모양도 제각각이다." 발바닥 아치가 높으면 달릴 때 유리한 이유발 ... ...
[비하인드 로켓] 우주로 가는 관문 발사장 명당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데 대해 누군가 의구심을 제기한 탓이었다. 2000년대 초만 해도 이렇게 지역감정이 강하게
남아
있었다. 물론 이는 당연히 근거 없는 추측으로 밝혀졌다. 또 다른 에피소드로, 고흥이 우주센터 후보지가 된 것은 오래 전부터 예정된 일이라며 입담을 과시하는 정치인도 있었다. 고흥이라는 지명의 ... ...
[중국유학일기] 중국어에 익숙해지고 싶다면 친구부터 사귀자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해소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전공 공부와 발표, 논문 등 학과 공부에서는 어려움이
남아
있다. 특히 전공에서도 심화 내용을 공부할 때가 가장 힘들다. 전공 용어를 숙지하면서 동시에 내용도 이해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것도 중국 친구들과 같은 속도로 말이다. 발표나 논문도 가장 높은 수준의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