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16. 학익진 전법의 일등공신 '도형의 닮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등장합니다. 직접 망해도술을 이용해 배 사이의 거리를 재볼까요? 위의 그림처럼 길이가 1m로 같지만 색이 다른 두 개의 막대기를 준비하고 일본 배에 가까운 쪽에는 빨간 막대기를, 먼 쪽에는 파란 막대기를 2.5m 간격으로 세웠습니다. 빨간 막대기의 끝(점 D)과 일본 배의 가장 높은 곳(점 A)을 ... ...
- 음료,음료, 음료...이 중 어떤 음료수를 선택하시겠습니까?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정보 등은 제품 사진을 그대로 찍은 이미지로 제공돼 시각장애인은 상세 정보를 전혀 알 길이 없다. 수많은 ‘우유’ ‘우유’ ‘우유’ 속에서 마치 뽑기를 하듯 골라야 하는 실정이다.카카오톡 등 메신저를 쓸 때도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다. 대화는 음성인식과 스크린리더를 이용하면 가능하지만 ...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나무는 고객의 것이다.자연에 매료됐던 어린 시절의 꿈을 이뤘지만, 여기까지 오는 길이 순탄치는 않았다. 어린 시절, 숲보다 나를 매료시킨 대상이 또 있었기 때문이다. 바로 우주였다. 과학동아에서 읽은 우주탐사 기사는 미지의 개척지에 대한 호기심과 상상력을 자극했고 우주를 동경의 대상으로 ... ...
- 다시 보는 밥상 위의 물고기, 그리고 자산어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종류의 물고기지만 정약전의 묘사는 일반인들의 상상을 한참이나 벗어난다.“큰 놈은 길이가 2m 남짓 된다. 허리통도 굵어서 몇 아름이나 된다. 음력 6~7월경 상어를 잡는 사람들이 낚시를 물 밑바닥까지 늘어뜨린다. 상어는 낚시에 걸리면 거꾸로 매달린 자세가 된다. 이때 대면은 낚시에 걸린 상어를 ... ...
- [수학동아 x 유튜버 로지컬 콜라보] 나만의 원주율 증명 영상 공모전 수상작 발표수학동아 l2021년 04호
- 200이에요 / kok****415 파이를 포켓몬스터 캐릭터 중 하나인 파이리를 이용해 구했습니다. 길이의 단위인 ‘리’가 어우러져 기막힌 파이가 나왔습니다 ... ...
- [가상인터뷰] 올가미를 만들어 나무를 오르는 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나무 위에 살면서 새나 도마뱀, 설치류 등 작은 동물을 먹어. 보통 1~2m, 크게는 3m 정도의 길이까지 자라기도 해.우리가 원래 사는 곳은 호주의 동부와 북부 해안, 파푸아뉴기니 등지였어. 그런데 1940년대 말에서 1950년대 초 사이에 남태평양의 작은 섬인 괌으로 유입되었어. 우리가 잡아먹는 바람에 ... ...
- [기획] 동양 vs 서양, 누가 먼저 찾았을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2번째 자릿수까지의 원주율을 아르키메데스가 완성한 거죠. 그는 정96각형의 각 변의 길이를 구하기 위해 피타고라스 정리와 현재 우리가 쓰는 삼각함수와 비슷한 형태의 공식, 제곱근에 대한 근삿값 등 매우 복잡한 식을 풀어야 했습니다. 3.141592까지 알아낸 조충지서양의 학자보다 먼저 ... ...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부풀며 결국 하나의 구 모양이 돼요. 열이 확산하듯이 물건을 변형시키면 물건 위에서의 길이나 각도 같은 기하학적 성질은 변해도 위상수학적 성질은 변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위상수학적 성질이란 구멍은 몇 개인지, 계속해서 뻗어 나가는 부분이 있는지 등 도형의 본질적인 성질을 말해요. ... ...
- [한페이지 뉴스] 유전자가위로 만든 네안데르탈인 뇌 오가노이드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화석으로는 추측할 수 없는 고대 인류의 뇌를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샌디에이고 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를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를 가진 뇌 오가노이드를 제작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 ... ...
- [한페이지 뉴스] ‘뭉치면 강한’ 검은벌레 로봇에 활용한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쪽에서 생존에 적합한 차가운 쪽으로 서서히 이동했다. 이때 뜨거운 쪽의 검은벌레들은 길이 방향으로 수축하며 서로 얽혀서 움직였다. 검은벌레는 빛에도 반응했다. 실내조명과 비슷한 밝기(400lux)에서는 벌레들이 개별적으로 이동했지만 강한 빛(5500lux)에서는 뭉쳐서 이동했다. 연구팀은 이들이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