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현"(으)로 총 1,382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우리나라의 첫 우주범선, 항해준비 완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우주범선은 어디 있죠?”처음엔 당황했다.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파피용’에 등장하는 우주범선 ‘파피용’은 무려 14만4000명의 지 ... 양성자와의 전기적 반발을 동력으로 삼는다. 돛을 펼 필요가 없기 때문에 훨씬 넓은 면적을 쉽게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 ...
- [Interview] 차세대 전자 의수 도전하는 오상록 KIST 박사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문제가 없다. 모르면 물어보면 된다”며 “그보다는 인체 플랫폼화 기술을 우리 몸에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지식이 달라 애를 먹곤 한다”고 말했다.“예를 들어, 저를 비롯한 로봇공학자들은 인체 친화적인 재료로 전극을 만들어서 신경 다발에 찔러 넣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 ...
- [Career] “보이는 모든 것의 가치를 높입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정보를 자동차 앞 유리가 아닌 본체 너머 도로에 보이는 것처럼 나타내는 ‘허상거리 구현 방식’의 헤드업 디스플레이다. “처음 의뢰 받을 당시 1차 제품은 도시락과 비슷한 모양이었어요. 운전대 앞 대시보드에 올려놓을 제품인데…. 설계부터 바꿨죠.”정 교수는 제품이 모든 종류의 차에 ... ...
- [News & Issue] 어서와, 이런 알바는 처음이지?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통합디자인 프로젝트’를 위해 요가 알바를 모집했다. 이 과목은 초기 조사부터 제품 구현까지 직접 해보며 새로운 제품을 설계하는 과목이다. 집에서 스스로 요가를 할 때 도움이 될 제품을 만들기 위해 참가자를 모집했다. 기자와 같이 수업을 받았던 이들은 이전에 한 번 요가를 배웠고, 그 뒤로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점에서 유전자와 변수를 최소화한 Syn3.0(정리된 서고)은 합성유전자의 기능을 확인하고 구현하는 데 아주 적합한 생물이다. 이 센터장은 “살 수만 있다면 Syn3.0은 직접 구입해서 실험해 보고 싶을 정도로 탐나는 생명체”라며 “Syn3.0은 합성생물학을 발전시키는 견인차 역할을 할 것”이라고 ... ...
- Part 3. 판타스틱 플라스마 월드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유지되는 시간이 번개처럼 짧고, 물건이 잘리는 데는 그보다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굉장히 힘들 것이다). 주변 기체를 어떤 것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플라스마의 색깔도 바꿀 수 있다. 예를 들어 제다이 기사들이 사용하는 녹색 광선검은 염소, 전편의 악당 시스가 쓰는 붉은색 광선검은 ... ...
- [Interview] “화성에서도 살아남을 인재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창의적 만들기 활동이다. 교육, 특히 과학교육과 접목될 경우 다양한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해 보며 창조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자기주도형 과학동아리를 선발, 지원하고, 학교 과학실을 사물인터넷 등 ICT 활용이 가능한 곳으로 개선할 계획도 하고 있다. “학교를 메이커활동의 거점으로 ... ...
- Part 4. 인공지능의 미래를 가늠하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초월하는 지능이 ‘초지능(super AI)’이다. 당연히 약한 인공지능에서 초지능으로 갈수록 구현하기 더 어렵다.그러나 이런 분류가 더 이상 의미가 없다는 주장도 있다. 기자는 1년 여 전 인공지능 기사를 위해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를 만났다. 당시 그는 “지능이 창발했다고 주장하는 일부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년 03호
- 기체가 움직이는 현상을 나타내는 편미분방정식인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을 활용해 구현하는 학문이에요. 이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어색한 경계를 액체나 기체가 흐르듯이매끄럽게 만들 수 있어요.손상된 부분의 주위에 있는 색깔뿐 아니라 남아 있는 선과 없어진 선의 경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 ...
- [Career] 서울공대카페 38 기계항공공학부(기계공학전공)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소금쟁이 로봇을 예로 들자면 소금쟁이에 대해 탐구한 결과를 바로 로봇이라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잖아요. 기초연구와 응용연구 두 가지를 모두 할 수 있다는 점도 큰 매력입니다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