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휴
공중 장애
아이들링
운행
헛돌기
대기잡음
잡음
d라이브러리
"
공전
"(으)로 총 791건 검색되었습니다.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길이가 해의 고도에 따라 달라지는 점을 이용한 것이다.지구는 23.5˚로 기울어져
공전
한다. 따라서 일년을 주기로 해의 고도는 달라진다. 해의 고도가 가장 높을 때는 하지이며 가장 낮을 때는 동지이다. 따라서 동지 때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길어진다. 이 해시계의 가로선을 살펴보면 중앙은 3월22일 ...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공전
궤도의 기울기가 비슷하기 때문에 하늘에서 비슷한 길, 즉 황도(하늘에 투영된 지구
공전
궤도)상에 나타난다. 목성도 예외가 아닌데, 해마다 황도상의 12 별자리 중 하나 정도씩 옮겨간다. 왜냐하면 목성이 태양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약 11년이 걸리기 때문이다.그리고 지구에서 보는 목성의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지상관측시설을 이용한 발견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이들은 지구궤도 안쪽을
공전
하는 NEO들인데, 지구에서 볼 때 늘 태양 근처에 머물기 때문이다. 충돌가능성 변동되기도이미 수많은 소행성들이 발견됐는데 새로운 소행성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먼저 시간 간격을 두고 여러번 촬영한 후 ... ...
1.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 발견의 비화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공간이었다. 독일의 요한네스 케플러(1571-1630)는 행성의 궤도가 타원이고 행성들의
공전
주기와 거리 사이에 일정한 관계가 있음을 밝혔지만 행성들의 거리가 어떻게 결정됐는지는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케플러도 무언가를 직감했던지 1596년 이곳에 새로운 행성이 있어야 한다는 내용의 논문을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수 없다. 왜 해질 녘이나 해뜰 무렵에만 보이는 것일까. 이것은 금성이 지구 안쪽 궤도를
공전
하기 때문인데, 이런 상황을 가만히 그려보면 지구에서 보는 금성이 해에서 크게 떨어지지 않는다. 가장 멀리 떨어졌을 때에도 각도는 약 47˚이다. 이때를‘최대이각’이라고 한다. 최대이각은 두번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위치가 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특히 이들이 목성을
공전
할 때 다음 세가지 현상을 자세히 관찰해보자. 첫째, 목성의 표면에 가끔씩 나타나는 까만 점을 살펴본다. 이것은 위성이 목성 앞을 지나갈 때 위성의 그림자가 목성 표면에 투영되는 현상이다. 둘째, 4대위성이 늘 ... ...
소음이 있어야 더 잘 들린다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이것이 빙하기가 발생하는 것과 무슨 관련이 있지 않을까 추측하게 됐다. 그러나 지구
공전
궤도가 흔들리는 정도는 아주 미약해서 지구를 빙하기로 이르게 할 정도는 아니라는 계산이 나오면서 빙하기의 발생원인은 다시 미궁에 빠지게 됐다.1981년 이탈리아의 기상학자 로베르토 벤지와 그의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유사하며 전체에 걸쳐 고른 밀도분포를 보였다.에로스의 자전주기는 5.27시간,
공전
주기는 1.76년이다. 표면 중력가속도는 2.1-5.5mm/${초}^{2}$으로 지구에 비해 수천배나 작기 때문에 만일 체중이 1백kg인 사람이 에로스에서 걷는다면 체중이 23.5-56.1g 사이로 변하게 된다.에로스의 탈출속도는 3.1-17.2m/초의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한쪽으로 비스듬히 누워 태양 주위를 도는 것처럼 보인다. 따라서 남극과 북극 지역은
공전
주기의 절반인 42년 동안 각각 태양을 바라보게 되고, 천왕성의 한쪽에서는 42년 동안이나 낮이 계속되고 다른 한쪽에서는 밤이 된다. 아마도 천왕성이 갓 태어날 무렵 거대한 충돌이 일어났기 때문에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것이다. 반면 중국에서는 하늘의 북극과 달이 별자리를 정하는 기준이었다. 달이 지구를
공전
하는데 걸리는 시간인 27.3217일 동안 하루씩 달이 이동해가는 천구상의 위치를 기준으로 28수가 정해져 사용됐다.그런데 황도는 왜 12부분으로 나누었을까? 이것은 황도 상을 태양이 한바퀴 도는 동안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