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회
주최
d라이브러리
"
개최
"(으)로 총 1,059건 검색되었습니다.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양성하고 기술개발을 돕는 산학협동에 관심이 높다. 지난 7월 12일부터 14일까지 북경에서
개최
된 ‘KAIST-칭화대 한중 하이테크 엑스포 2004’ 역시 칭화대가 적극적으로 나섰다.국내 벤처 55개사와 중국 벤처 30여개사가 참가한 이번 전시회는 대학이 양국 기업의 기술 교류와 투자 유치의 기회를 ... ...
04. 남획 막아야 해양선진국 된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특히 일본은 고래잡이 찬성국과 함께 지난 7월 19일부터 4일간 이탈리아 소렌토에서
개최
된 IWC 연차총회에서 18년째 금지하고 있는 상업포경을 재개하자고 주장했다.IWC 본래의 목적이 고래의 이용과 보존이라는 점을 내세워 상업포경을 전면 중단한 모라토리움 대신 개정관리제도(RMS)로 바꿔 쿼터를 ... ...
한국,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 입상 쾌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월 10-14일 미 포틀랜드에서
개최
된 인텔국제과학기술경진대회(인텔 ISEF)에서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뛰어난 성과를 올렸다.대전과학고 1학년 홍성진 군은 ‘e-Canister’ 라는 안티 스팸메일 서버프로그램으로 컴퓨터공학 부문에 참가해 본상 4등과 미 인공지능협회 특별상을 동시에 수상하는 영예를 ... ...
앰배서더 강연 맛보기 - 경희대 윤무부 교수의 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있습니다.5월 8일에는 새 박사로 널리 알려진 윤무부교수가 영등포구민회관에서
개최
된 제1회 과학한마당 행사에서 과학자의 꿈을 키워가는 어린이들과 함께 했습니다. 다음은 윤무부 교수의 강연내요을 정리한 것입니다. 흔히 조금 모자란 사람을 비유해 ‘닭대가리’ 니 ‘새대가리’ 니 하는 ... ...
대중에게 다가서는 뇌과학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매년 3월 셋째주를 ‘뇌주간’으로 정해 각계각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강연회를
개최
한다. 1992년 미국에서 시작된 이 행사는 현재 57개국으로 확산됐다. 우리나라에서는 2002년 시작됐고, 올해는 3월 15일부터 20일까지 전국 9개 도시에서 공개강연이 열렸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의 신희섭 박사는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기자회견 황우석 교수 연구팀은 한국시간으로 지난 2월 13일 오전 4시 미국 시애틀에서
개최
된 특별기자회견에서 여성의 난자에 성인의 체세포 핵을 이식하는 방법으로 배아를 복제해냈으며, 이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얻어내는데 성공했다고 발표했다.황 교수는 “이제까지 인간배아를 복제해낸 ... ...
무선 네트워크에 번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계획돼 있는 정기적인 회의가 아니라 어떤 중대하고 급박한 상황에 대처해 즉석에서
개최
되는 회의를 의미한다.이동 애드혹 망도 마치 번쩍하고 사라지는 번개와 같이 언제든지 즉석에서 생겨날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이다. 이 기술은 단지 무선랜이나 블루투스와 같은 무선통신 기능이 탑재된 ... ...
2008년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3명을 태우고 2주안에 2회 왕복 비행을 하면 1천만달러 상금을 받는 엑스-프라이즈 대회도
개최
한다.우주는 무중력과 초진공, 초저잡음의 공간으로 IT, BT 그리고 NT 연구의 최적 환경이다. 우주에서는 비중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밀도 차이가 큰 재료를 합성할 수 있다. 지상에서는 절대 섞일 수 없는 ... ...
극한에서 피운 열정의 꽃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수 있다. 세계 각국 연구원들이 어울려 얼음축구를 즐기고, 남극올림픽과 남극마라톤을
개최
하는 모습에서는 부러움마저 든다.특히 ‘남극탐험의 꿈’ 에 실린 3백여장의 사진은 때로는 답답한 가슴을 시원하게 해주고, 또 때로는 남극의 신비롭고 아름다운 모습을 감동적으로 전해준다. 남극 ... ...
2. "10년 뒤 노벨상 받는 제자 기대"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비롯한 과학자들의 거의 공통된 의견이다. 스톡홀름 시청은 매년 노벨상 시상식이
개최
되는 곳이다. 하루 3-4시간만 자는 그의 고된 연구생활이 10여년 뒤 후배 과학자의 영광으로 꽃피울지 지켜볼 일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세계 최초 치료용 복제 성공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2.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