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사
d라이브러리
"
개죽음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92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올해도 우리는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지 못했다. 수상자들의 연구업적을 잘 살펴 다음을 기약하자. 올해의 노벨의학·생리학상은 미국 시애틀에 있는 워싱턴대학 생화학과의 에드윈 크랩스(Edwin Krebs) 교수와 에드몬드 피셔(Edmond Fischer)교수에게 돌아갔다. 이 두 생화학자는 33년 전인 1959년에 에피 ... ...
우주는 영원히 팽창할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빅뱅우주론'이 탄생해 많은 모순점을 극복하고 우주 생성의 표준모델로 자리잡기까지, 그중에서도 정상우주론의 도전을 물리치는 과정을 요약해 소개한다.우주에 시작이 있는가, 아니면 우주는 항상 존재해 왔는가. 오랫동안 과학자들은 이 질문을 철학자와 신학자들의 형이상학적 영역에 속하는 ... ...
쓰레기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쓰레기'(영어로 가베지)라는 단어는 베어낸 곡물의 묶음이라는 의미를 가진 오래된 프랑스어 단어인 '가브'에서 유래됐을지도 모른다. 어떤 사람들은 찌꺼기를 제거한다는 '가베라게'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생각한다. 1942년도의 영어사전은 쓰레기를 '동물이나 집안에서 나오는 폐기물' 혹은 '값어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이달의 행성금성 저녁하늘에 보이며 -3.3등급으로 처녀자리에 위치한다. 19일에 스피카 옆을 통과하며 하순에는 천칭자리와의 경계에 놓이게 된다.화성 황소자리에서 쌍둥이자리로 움직이며 밝기는 0.7등급에서 0.5등급으로 밝아진다.목성 태양에 가까이 있어서 보이지 않는다. 17일에 합(행성이 태양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달의 행성금성저녁 황혼속으로 사라져 보이지 않는다.화성양자리에서 황소자리로 움직이며 밝기는 1등급이다. 이달 하순경에는 히아데스 성단과 플레이아데스 성단 사이에 놓이게 된다.목성여전히 사자자리에 위차하며 밝기는 -1.3등급이다.토성0.5등급의 밝기로 염소자리에서 찾을 수 있다.7월 ... ...
테마에세이/환경과 인간⑦ 바다 쓰레기로 해양생물 몸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바다 속에서 종이가 분해되는 데는 1개월, 페인트 칠이 된 나무조각의 경우는 13년이 걸린다. 이에 비해 통조림 깡통은 1백년, 각종 플라스틱 제품은 무려 5백년 이상이 걸려야 분해된다.1986년 9월 알래스카만 주변 해역을 항해중이던 미국 항공모함 콘스텔레이션호의 망원경에는 소련 초계함의 이상 ... ...
태양의 영원한 라이벌 전갈자리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봄기운에 들뜬 자연이 초록으로 옷을 갈아 입더니 어느덧 주위는 온통 여름의 세계로 바뀌고 있다. 낮은 길어졌지만 우리는 별밤을 맞이하기 위해 그만큼 더 오랜 시간을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여름의 밤하늘은 충분히 기다릴만한 가치가 있는 아름다움의 보고이다. 여름의 화려한 별자리들이 저 ... ...
「지구의 산소탱크」열대우림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열대우림의 파괴속도는 상상을 초월한다. 매분마다 축구장 15개 만한 크기의 열대우림이 벌목지가 되고 있다. 1년이면 남한만한 면적의 숲이 자취를 감추는 것이다.카키색 사파리 모자를 쓰고 장총을 든 백인들. '타잔'이라는 지나간 시대의 미국영화속에서 이런 차림으로 밀림 속으로 들어오는 백 ... ...
생명연장을 위한 인류의 도전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장기이식 발달사는 이식과 관련되는 수술기법이 발달해온 역사이며 거부반응에 대한 의학적 이해와 극복의 역사인 동시에 이식에 대한 사회적 반응의 변천사다.병들거나 손상 받은 장기 대신 건강한 장기로 대치하는 것은 외과의사들만이 아니라 많은 사람들의 오랜 꿈이었다. 특히 사람의 신체를 ... ...
정자(精子)전쟁
과학동아
l
1992년 05호
정자는 최종결승점을 향해 경쟁적으로 질주한다. 마침내 하나의 정자가 난자의 외벽을 뚫고 나면…생명체란 살아있는 모든 것이라고 간단히 정의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면 움직이고 변화에 반응하며 성장하고 생산(生產)이 가능한 존재다. 그러면 생명의 시작은 어디서부터일까. 이 문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