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염"(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내 몸의 설계도 읽는 유전체 해독 기술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보고 염기의 순서를 읽었습니다. 생어 박사는 이 기술을 이용해 박테리오파지(세균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의 DNA를 정확하게 해독했습니다. 이를 ‘생어 해독법(Sanger Sequencing)’이라고 부릅니다. 생어 해독법으로는 한 번에 염기 300~1000개를 정확하게 읽을 수 있습니다. Q 내 유전정보 읽는 데 ... ...
- 노벨 생리의학상, 암 정복의 길을 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정체를 가장 먼저 알아채고 ‘T세포’라는 면역세포에게 알려주지요. 그러면 T세포는 감염된 세포를 직접 죽여서 침입자를 제거한답니다. T세포는 암세포도 마찬가지로 침입자라고 인식해요. 하지만 암세포는 T세포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T세포가 특별한 단백질을 만들어 내도록 하지요. 그 ... ...
- [실전! 반려동물] 앵무새 자꾸 새장에 머리를 박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깨끗한 상태로 유지하고, 새장은 매일 치워 주는 것이 좋아요. 여러 마리 중 한 마리만 감염돼도 금세 다른 반려조에게 질병을 옮길 수 있거든요. 반려조의 먹이도 건강상태를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예요. 보통 여러 곡물이 혼합된 사료를 먹는데, 곡물 사료만 먹으면 충분한 영양분을 섭취하지 ... ...
- Part 3. 한반도에 상륙한 무서운 녀석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진드기’라 불리는 ‘작은소피참진드기’에 의한 피해가 심각해요. 이 진드기에 의해 감염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계속 발생하고 있거든요. 2013년에 처음으로 환자가 발생해 그 해 36명이 SFTS에 걸렸고, 이후 계속 그 수가 늘어 작년에는 무려 272명의 환자가 발생했답니다.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있는 액체’를 뜻하는 라틴어 ‘virus(비루스)’에서 온 말이에요. 지금은 세균처럼 감염병을 일으키면서도 세균과는 달리 혼자서 살 수 없는 물질을 가리키지요.바이러스는 매우 작아서 발견하는 데 오랜 시간이 걸렸어요. 빛을 이용하는 광학 현미경보다 더 작은 물질을 볼 수 있는 전자 현미경이 ... ...
- Part 4. 한반도 산은 지금 탈모 진행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넓게 퍼지는 거죠. 더군다나 기후변화로 소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면역력이 약해지면 감염될 확률이 더 높아진답니다. 국립산림과학원 남영우 박사는 “소나무재선충이 확산되는 요인을 파악해 효과적인 대처 방법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중”이라고 말했어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도움이 된다는 걸 의미해요. 연구팀은 담록소의 독성이 말라리아와 같은 혈액 기생충에 감염될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 아닌지 추정한답니다. [스토리] “방금 빛난 게 피젯스피너 맞지? 대단해!”수호가 방금 본 광경을 믿을 수 없어 하면서 소리쳤어요. 채윤이가 뭔가 생각 났다는 듯 피젯스피너를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자동으로 격리됩니다. 치료가 끝나면 연어를 다시 양식장으로 돌려보냅니다. 바닷물이에 감염된 연어를 빨리 발견해 치료하면 사망률을 50~70% 줄일 수 있습니다. 세르막 측은 “실제 연어가 사는 환경에서도 고품질의 이미지를 찍을 수 있어야 하고, 수백만 마리의 물고기를 구별할 수 있도록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끝없는 전쟁 중! 지난 5월 21일, 인도 남부지역에서 신종전염병인 ‘니파바이러스’에 감염되어 10명이 넘는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어요. 니파바이러스는 세계보건기구(WHO)가 선정한 ‘인류를 위협할 8가지 전염병’ 중 하나로, 과일박쥐가 옮긴다고 알려졌지요. 이뿐만 아니라 최근 중앙아프리카의 ... ...
- [팩트체크 3]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감염되기 쉽고, 세균성 질환을 많이 겪어 보지 않은 요즘의 남한 사람들은 세균성 질환에 감염되기 쉬울 거예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의사들은 통일을 대비한 의학 교류를 빨리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해요.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통일의학센터 신희영 소장은 “독일의 경우 1990년 통일을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