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8,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궁금증이 내 연구의 원동력”과학동아 l201607
- 큰 도움을 얻었습니다.”그는 1970년대 후반, 리소좀이 없는 망상적혈구에서 유비퀴틴을 발견하는 데 성공했다. 그는 스타덤에 올랐고, 단백질 분해도 새롭게 주목받기 시작했다. 새로운 단백질 분해법을 찾아냈지만 연구를 이어나가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비유를 들자면, 호텔을 철거하는 데 ...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06
- 볼 수 있답니다. 중력파는 오랜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인 셈이에요.처음 전자기파를 발견한 헤르츠는 ‘전자기파는 아무 데도 쓸 데가 없다’고 말했어. 하지만 오늘날 인터넷이나 전화 통화 등의 무선 통신을 할 수 있게 만든 게 바로 전자기파지. 그러니 중력파도 앞으로 활용 방법이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같은 플라비바이러스에 속하는 뎅기열이나 웨스트나일 바이러스에서도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단백질인데, 지카 NS1 단백질의 전체적인 구조 역시 다른 바이러스와 비슷했다. 다만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들이 중앙에서 꼬인 고리(loop) 구조의 전기적 분포가 달랐다. 뎅기열은 이 부분이 양의 ... ...
- [Knowledge] 파충류 뇌라고 무시하는 거야?과학동아 l201606
- 도마뱀의 뇌 활동을 여러 주 동안 기록했는데, 뇌 활동을 기록하던 중 뜻밖의 사실을 발견했다. 잠을 잘 때 뇌가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는 상태인 렘(REM, 빠른 안구 움직임이 관찰되는 수면 패턴) 수면패턴을 도마뱀이 보인 것이다. 사람은 이런 수면패턴을 보일 때 꿈을 꾼다. 그래서 연구팀은 도마뱀 ... ...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06
- 질문이다. 여기에 대한 로널드 피셔의 답은 아마 이랬을 것이다.“물론이지. 내가 발견했잖아.” 피셔는 “자연 선택은 각 개체의 적합도(평생 낳는 자식수)를 증가시킨다”는 결론을 내리고 이를 ‘자연 선택의 근본정리’라고 이름 붙였다. 피셔는 이 정리가 생명 과학에서 최상의 위치를 차지하며 ... ...
- [Tech & Fun] 이래도 사람, 저래도 사람과학동아 l201606
- 00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 섬에서 새로운 인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라는 이름이 붙은 이 종은 키가 1m, 뇌 용량이 현생인류의 3분의 1에 불과한 호미닌이었다. 많은 학자들은 그 작은 크기에 경악했고, 일부는 ‘현생인류의 기형 아니냐’는 터무니 없는 주장을 했다(물론 금방 ... ...
- Intro. 태양계의 9번째 후예수학동아 l201606
- 찾았다는 연구 결과를 ‘천문학 저널’에 발표했다. 브라운 박사는 왜행성인 에리스를 발견해 명왕성의 행성 지위를 박탈하도록 이끈 사람이기도 하다.연구팀은 망원경으로도 보기 힘들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천체가 공전하는 궤도를 어떻게 알아냈을까? 또 플래닛 나인은 과연 아홉 번째 행성이 ... ...
- Part 1. 영원한 ‘해바라기’~ 행성은 누구?수학동아 l201606
- 더 길쭉한 타원궤도를 그리며 태양 주위를 돌았고, 그만한 크기의 천체가 잇따라 발견됐다. 결국 에리스는 명왕성과 함께 왜행성으로 분류됐다.[왜행성★ 소행성보다 질량이 커서 행성처럼 거의 완벽한 구 모양이다. 하지만 행성만큼 중력이 크지 않아 주변 천체로부터 영향을 받는다.소행성★ ... ...
- [과학뉴스] 거대 블랙홀 품은 꼬마 은하과학동아 l201606
- 결과, 질량이 우리은하의 40분의 1에 불과한 조밀타원은하의 중심부에서 활동성 은하핵을 발견했다. 활동성 은하핵 현상은 은하 중심부로 주변 물질들이 유입되면서 강한 에너지를 내뿜는 현상으로,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간접적인 증거다. 김민진 은하진화그룹 선임연구원은 “은하는 ... ...
- [News & Issue] ‘다중신호 천문학’ 시대 열린다과학동아 l201606
- 70여 개 천문그룹과 양해각서(MOU)를 맺고 있다. 라이고에서 중력파로 의심되는 신호가 발견되면 그 즉시 천문학자들에게 연락이 간다. 이형목 교수는 “1초 이내의 정보를 2분 안에 잽싸게 분석해 대략적인 질량과 거리 정보를 이메일로 보내는 것이 라이고 팀의 목표”라고 했다.실제 작년 9월 14일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