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국립"(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 영광의 필즈상 수상자는 누구?수학동아 l201409
- 수상의 영예는 마리암 미르자카니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와 아르투르 아빌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 석학연구원, 만줄 바르가바 미국 프린스턴대 석좌 교수, 마틴 헤어러 영국 워릭대 교수에게 돌아갔다.한편 시상식에서는 필즈상 이외의 수학 분야 3개 상 수상자도 발표됐다. 응용 수학 분야의 ...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과학동아 l201409
- 2012년 콩고민주공화국 국립생의학연구소의 저스틴 마스무 박사와 공동연구진이 온더스테푸어트 수의학 연구저널에 발표한 논문** 국제적으로 불법 벌목을 감시하는 일리걸로깅포털 (Ilegal Logging Portal) 2009년 4월 30일자 기사*** 가디언 2012년 7월 5일자 기사**** 2002년 미항공우주국(NASA) 고다드우주센터 .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어린이과학동아 l201409
- 속상하겠지?우리 반에 ‘왕따’가 있는 이유1 감성은 성숙하고 이성은 미성숙미국 국립정신건강연구원의 제이 기드 박사는 ‘10대의 뇌’에서 답을 찾았다. 이성적인 사고를 담당하는 뇌의 앞부분(전두엽)이 10대 때에는 아직 덜 자라서라는 것이다. 그런데 본능을 담당하는 ‘뇌간’과 감정을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09
- 년 4월 25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린 한 논문으로 과학계가 발칵 뒤집혔다. 캐나다 국립미생물연구소 캐리 코빙거 박사팀이 “에볼라가 공기전염된 증거를 발견했다”고 선언한 것이다. 연구진은 에볼라에 감염된 돼지 옆에 원숭이를 두었는데, 둘 사이의 접촉이 전혀 없었는데도 원숭이에게 ... ...
- 엄마가 느낀 공포, 냄새로 유전된다과학동아 l201409
- 그 이전에 학습한 공포를 아기 쥐에게 전달한다는 사실을 밝히고 그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28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임신을 하지 않은 암컷 쥐에게 전기자극과 함께 박하향을 맡게 했다. 냄새와 두려움을 연관 지은 것이다. 이 쥐가 새끼를 낳자, 연구팀은 태어난 지 하루밖에 ... ...
- [과학뉴스] 행복 예측 방정식과학동아 l201409
- 과거의 의사결정과 기대를 이용해 미래의 행복을 예측하는 방정식을 개발해 ‘미국국립과학원회보’ 8월 4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6명의 실험 참가자를 모집한 뒤 이들에게 금전적인 이득 또는 손실을 줄 수 있는 게임을 반복해서 시켰다. 실험 전에 자신의 기대치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고, 두세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증명한 행복의 공식수학동아 l201409
-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를 예측할 수 있는 ‘행복 방정식’이 나왔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연구팀은 26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여러 가지 상황을 주고, 선택에 따라 돈을 벌거나 잃을 수 있는 의사결정 테스트를 수행하도록 했다. 그 과정에서 실험 참가자들에게 반복적으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9
- 정확히 뭘 말하는 걸까?해조류는 미역, 김 같은, 그러니까 음…. 어? 마침 저기에 국립수산과학원 황은경 박사님이 계셔. 박사님께 여쭤 보자. 박사님~!바다 숲을 이루는 식물, 해조류해조류는 광합성을 하며 바다에 사는 식물을 말해요. 해조류 중에서도 씨앗으로 번식하는 식물을 ‘해초’라고 ... ...
- 필즈상, 금녀의 벽을 허물다과학동아 l201409
- 칭찬을 많이 해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아르투르 아빌라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 석학연구원(35)은 북미나 유럽 등 수학 선진국이 아닌 국가(브라질)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첫 필즈상 수상자다. 브라질 출신인 그는 1995년 15세의 어린 나이에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 금메달을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09
- 울돌목의 해류를 귀신같이 활용해 명량해전에서 승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2011년 국립해양조사원과 해군사관학교가 명량해전 당시의 조류현상을 추측해 발표한 결과를 보면, 왜군이 어란진에서 출정한 1597년 9월 16일 오전 6시 30분께, 남해안에서 서해안으로 밀물이 시작됐다. 오전 10시 10분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