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건"(으)로 총 7,9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콤하고 시원한 아이스크림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08.14
- 섞으면 어는점 내림 현상이 일어나며 얼음이 녹는다. 그런데 얼음이 녹아 물로 변하는 건 주변의 열을 흡수하는 흡열반응이기 때문에 주변의 온도가 낮아진다. 이뿐만 아니라 소금이 물에 녹는 과정도 흡열반응이기 때문에 온도는 더 많이 내려간다. 결국 얼음에 소금을 뿌리면 온도는 영하 18℃ ... ...
- 벌레가 가르쳐준 ‘나뭇잎 예술 작품’팝뉴스 l2017.08.14
- 그 결과 나온 작품들은 하나같이 정교하고 사랑스럽다. 우리만 그렇게 생각하는 건 아니어서 BBC, 엘문도 등 세계 언론에서 주목하기 시작했다. 덕분에 그의 ‘나뭇잎 파먹기’ 예술도 더욱 발전하고 있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⑭ 유방의 수수께끼2017.08.12
- 중이다. 현재 호주국립대(ANU)에서 문화, 건강 및 의학 과정을 연수하고 있다. '재난과 정신건강(공저)'(2015), ‘토닥토닥 정신과 사용설명서’(2016) 등을 저술했고, '행복의 역습'(2014), ‘여성의 진화’(2017)를 번역했다 ... ...
- 혹성탈출 보기 전 알아두면 좋은 과학지식 셋동아사이언스 l2017.08.11
- 원숭이 난자에 넣어 ‘자폐 원숭이’를 만들었다. 인간의 지능을 독보적으로 만든 건 대뇌 바깥쪽 신피질이다. 다른 동물의 신피질은 인간처럼 두껍지 않다. 인간의 뇌는 신피질을 담기 위해 주름이 생긴다. 빌란트 휘트너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교수팀은 신피질을 두껍게 만드는 유전자를 ... ...
- 靑 “박기영 과기본부장 거취 심각하게 고민” 동아사이언스 l2017.08.10
- 야권도 강하게 반발했다. 바른정당 주호영 원내대표는 “노무현 청와대 근무자는 무조건 기용되는 ‘노무현 하이패스, 프리패스’ 인사”라고 비판했다. 9일에도 과학계는 박 본부장 선임 반대 의사를 표명했다. 과학 정책 제안을 위한 과학자와 시민 모임인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 ...
- 英 엄격한 법 규제에도 인간배아 연구 활발한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08.09
- 유전질환의 대물림을 막기 위한 이 시술은 친모의 난자에서 핵만 추출한 뒤 핵을 제거한 건강한 난자에 주입해 인공 수정을 하는 방식이다. 영국 의회는 세 부모 아기를 낳을 수 있도록 하는 이 법을 하원과 상원을 거쳐 2015년 통과시켰다. 14일 규정 역시 영국에서 처음 제안됐다. 영국 정부는 19 ... ...
- [카드뉴스] ‘사랑의 매’가 효과 없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7.08.09
- 체벌을 당한 학생이 아닌 체벌을 본 학생들에게 강화 효과를 줍니다. 떠들면 맞는다는 건 떠들지 않으면 체벌을 당하지 않는 보상을 얻는 부적강화인 것이지요. 체벌이 효과가 있다고 믿는 심리가 ‘미신적 강화’가 되기도 합니다. 다양한 방법의 교육 중에서 체벌이 가장 인상에 남아 아이의 ... ...
- MS 애저 스택, 클라우드의 오랜 고민 풀까2017.08.08
- 있는 국가이긴 합니다 하지만 꼭 우리나라에서 한국 데이터센터만 이용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흔히 쓰는 일본이나 미국의 데이터센터와도 연결됩니다. 다만 애저 스택은 꼭 애저와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가격 체계도 조금 다릅니다. 기존 프라이빗 클라우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내미생물을 활용해 건강하게 살 방법은?2017.08.08
- 게 아쉽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4권, 2012~2015),『늑대는 어떻게 개가 ... ...
- [써보니] 아이패드 프로 10.52017.08.07
- 아이패드 프로가 아닌가 한다. 모두가 아이패드 프로를 써야 하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건 각 기기로 그만큼의 가치를 뽑아낼 수 있느냐가 선택 기준이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아이패드 안에서도 콘텐츠를 만드는 기기와 소비하는 기기 사이의 간극이 0.8인치 차이의 화면에 녹아 있는 듯하다. ※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