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당신을 ‘LCD의 아버지’로 임명합니다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최고급 사양이었다.1996년 5월 13일자 ‘어플라이드 피직스 레터스’에 실린 논문은 그가 한국 LCD 연구의 1인자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그 논문이 토대가 돼 삼성전자는 새로운 형태의 디스플레이를 개발할 수 있었다. 그는 “디스플레이 연구 20년 동안 가장 보람된 순간이었다”고 회상했다 ... ...
- 그림으로 보는 '원자론'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가지에서 더 작은 가지가 나온다. 다시 그 작은 가지에서 더 작은 가지가 나온다. - 2003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모의고사 기출문항 2. [제시문] 자연적인 것과 인공적인 것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려는 화학은 세상을 완전히 바꿔놓은 과학 분야다. (중략) 화학의 발전으로 눈으로 볼 수 없는 물질의 ... ...
-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주도하고 있다. 일본은 실크 유전자 염기서열 지도를 완성하는 기초연구에서 앞서가고, 한국은 실용화와 응용연구에서 앞서가고 있다. 21세기 실크의 재발견으로 ‘제2의 실크로드’가 열리길 기대한다.안형준 기자 butnow@donga.com▼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에코패션’ 시대 열렸다천연섬유의 ... ...
- 비스킷을 커피에 맛있게 적셔 먹는 과학적 방법과학동아 l2009년 02호
- 열광하는 조연이 아니라 차분히 조망하고 성찰하는 관객이 될 것을 주문한다. 저자는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기술문명 속에 숨은 뒤틀린 욕망을 파헤치고 과학 발전에 대한 맹목적인 신념을 경계한다 ...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과학동아 l2009년 02호
- 거쳤다. 2000년부터 KAIST 생명과학과 교수를 맡고 있는 김 단장은 2004년에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수여하는 제8회 젊은과학자상을 수상했다.“제가 연구를 시작한 1990년대 후반만 해도 시냅스 분야는 생명과학의 ‘블루오션’이라고 할 수 있었죠. 그런데 지금은 점차 경쟁자들이 넘쳐나는 ... ...
- 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과학동아 l2009년 01호
- 동물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미국 예일대에서 박사후 연구원으로 있다가 2000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을 거쳐 2008년 상명대에 부임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9세기 과학혁명의 출발점 종의 기원유전자에서 찾는 21세기판 진화법칙사회 곳곳에 흐르는 다윈의 향기현지취재 ... ...
- 망원경, 크기를 향한 무한도전과학동아 l2009년 01호
- ‘SX Cas’의 광도곡선의 분석과 그 모형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천문연구원 대형망원경그룹에서 변광천체 연구와 더불어 대형광학망원경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 나이 밝힌 허블우주망원경별의 전령사, 갈릴레이망원경, 크기를 향한 ... ...
- 시끌벅적 소리로 가득 찬 바다과학동아 l2009년 01호
- 바닷속은 결코 조용하지 않다.딱총새우는 캐스터네츠를 치듯 집게를 ‘딱딱’ 거리고,숭어는 입으로 ‘둥둥둥’ 소리를 낸다.‘쏴아’ 파도소리는 바다 깊은 곳까지 전해지며 여기에 ... 소나(SONAR, 음파탐지장치) 소리_2 7. 바다속에서 들리는 배 엔진소리 소리제공 : 한국해양연구 ... ...
- 요즘 태양은 왜 민얼굴인가요?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오프라인 전시회가 열린다.세계 태양 관측 캠페인2009년 1월 1일 보현산 천문대에서 한국천문연구원과 서울대, 경희대 연구진이 해 뜨는 모습을 망원경으로 보여준다. 정오에는 세계 천문의 해 기념 강연이 열리며, 참석자들에게 선물도 나눠줄 예정이다 ... ...
- 우주항공구조공학과학동아 l2009년 01호
- 집중적으로 공부하기 위해서는 항공우주공학과에 진학하는 편이 좋다. 국내에는 서울대, 한국항공대, KAIST, 인하대 등에 개설돼 있다. 세계적으로는 미국 MIT, 스탠퍼드대, 조지아공대, 일본 도쿄대, 중국 칭화대, 북경항공항천대가 유명하다.4. 무엇을 배우나요? 우주항공구조공학을 공부하기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