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인공지능 오딧세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살았던 그 어떤 과학자보다도 현재 우리의 삶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다. 그에 비하면 지금까지 튜링의 명성은 많이 저평가돼왔던 게 아닐까. 수학, 암호해독, 컴퓨터과학, 인공지능, 생물학, 물리학 등 다방면에 공헌한 팔방미인이면서도 사회적 편견 때문에 비극적으로 삶을 마쳤다. 올해 6월 23일로 ... ...
- Part 1. 튜링을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그런 일도 있었군요. 그랬다면 저도 영광이겠네요. 아니, 그런데 지금 여긴 어디죠?기자 지금 저희는 에딘버러대에서 열리고 있는 심포지움에 와 있습니다. 바로 어제 이곳에서 박사님에 대한 대중 강연이 열렸는데, 수많은 사람이 와서 자리를 꽉 채웠답니다. 또한 올해 탄생 100주년을 맞아 세계 ... ...
- 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바다를 주제로 개막한 것도 이런 수수께끼를 풀고 싶기 때문일 것이다. 지금부터 바닷속 거대한 수수께끼를 풀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우리를 유혹하는 바다의 비밀들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Part 3. 라니냐는 남극 심층해류의 ... ...
- Part 4. 와편모류 어떻게 바다의 지배자가 됐나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있는, 실질적으로 바다를 지배하는 생물”이라고 말했다.단세포 생물인 와편모류는 지금까지 약 2500종이 발견됐다. 전세계 바다 구역구역을 나눠 존재하는 생물의 양(바이오매스)을 조사해 보면 와편모류가 가장 많은 경우가 제일 빈번하다. 눈에 보이지 않지만 해양생물학적 관점에서 볼 때 정도의 ...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다른 연구진이 행한 좀 더 정밀한 측정 결과 블랙홀의 질량은 태양의 36만 배로 상향됐다. 지금까지 태양 질량의 수십 만 배 크기의 블랙홀이 수십 개 발견됐고 ‘중간질량 블랙홀(intermediate-mass black hole)’로 불리고 있다.한편 지난 2007년 영국 사우샘프턴대 토머스 매카론 박사팀은 지구에서 5000만 ... ...
- 미역국으로 말라리아 예방할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가지고 있는 항원과 비슷한 구조의 단백질을 몸 안에 주사해 항체를 만든다. 그러나 지금까지 나온 말라리아 백신은 원충이 가지고 있는 항원에 대항하는 항체를 잘 만들어내지 못해 효과가 떨어졌다. 말라리아 항원은 3차원의 복잡한 구조여서 인위적으로 만들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가격도 너무 ...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꽂는 방법의 위험성이다.뇌에 코드를 꽂다생각만으로 컴퓨터를 조작한다는 아이디어는 지금으로부터 약 40년 전인 1973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자크 비달 교수로부터 나왔다. 비달 교수는 캐시처럼 뇌에 직접 전극을 이식하는 대신 두개골 바깥에서 뇌파를 측정해 명령어로 이용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힘으로 합리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악마를 퇴치하면서 과학은 한 단계 더 도약했다. 지금 당신의 생각을 헷갈리거나 곤란하게 하는 것이 있다면 과학자들처럼 잠깐 악마의 힘을 빌려보는 건 어떨까 ...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교수는 “만약 암흑영역 물질 사이에 작용하는 힘이 없을 경우, 우주 에너지의 밀도가 지금보다 더 커야 하며, 우주의 편평도도 관측결과와 달라진다”고 설명한다. 어떤 식으로든 암흑의 힘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물론 암흑광자가 정말로 암흑의 힘인 암흑전자기력을 만드는지는 아직 모른다. ... ...
- 과학을 품은 조선 온실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먹을 것이 무척 부족했어요. 나무껍질을 벗겨먹을 정도였지요. 먹고 사는 것이 걱정 없는 지금은 농업을 중요하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도 있어요. 하지만 먹고 사는 문제만큼 중요한 것은 없답니다. 게다가 이제 농업으로 더 건강에 좋은 먹거리를 만들거나 천연물로 신약을 만드는 것은 물론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