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용"(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로라 뜨는 밤엔 태양풍을 조심하세요”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이다. 북위 82도 이상에서는 HF통신이 불가능하다. 위성통신마저 태양폭발이 일어나면 사용할 수 없어 일시적으로 북극 지역을 지날 때 모든 통신이 먹통이 돼버린다. 이렇게 되면 조종사들은 오로지 경험에 의존해 항로를 결정해야 해 매우 위험하다. 사실 필자는 북극항로 우주방사선 실험을 하면서 ... ...
- “산업계의 주춧돌=정밀공학”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레이저가공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한다. 머리카락보다 조금 굵은 정도의 절삭공구를 사용하기 때문에 조그만 실수를 해도 공구가 쉽게 부러졌다.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밤을 새워 실험을 했던 기억이 난다.필자는 정밀공학연구실에서 보낸 기간 동안 학문적으로 많은 것을 배웠다. 또 한가지, ... ...
- 싱가포르 국립대 - QS 대학평가 아시아 2위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역사적으로 영국 등 세계열강들이 무역기지 거점으로 삼았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사용하는 언어도 4개다. 영어, 말레이어, 중국어, 타밀어를 모두 쓴다. 화폐나 지하철에도 4개의 언어가 함께 표기돼 있다. 싱가포르는 이민을 장려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권 사람들 사이의 의사소통을 위해 ... ...
- 버터 vs 마가린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맛을 지닌 버터는 팝콘이나 빵, 케이크 같이 굽거나 볶는 음식의 맛을 내는 데 널리 사용해요. 고체 덩어리지만 32℃가 넘으면 녹아서 액체가 되기 때문에, 낮은 온도에서 보관해야 해요. 또 냄새를 잘 흡수해 냄새가 나는 음식이나 물건과 같이 두면 안 좋답니다. 보관을 잘못하면 곰팡이가 잘 생겨요 ... ...
- 야구 최강 타순 어떻게 정할까? 마르코프 연쇄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야구에서 타순은 굉장히 중요하다. 그날의 상대투수에 맞춰 좋은 타순을 짜야만 가장 많은 득점을 낼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 야구의 타순은 주로 감독의 감에 의존하는 경 ... 미래를 예측하는 것이 중요해지고 있는 만큼 마르코프 연쇄도 날이 갈수록 더 많이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 ...
- 이팔청춘의 숫자,16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웹디자인에서는 이러한 RGB코드를 16진법으로 변환해서 사용한다. 실제로 각 광원이 사용된 값의 범위인 0부터 255의 정수는 모두 256=16²가지이므로, 이것을 각 광원 당 2자리의 16진법으로 변환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한 자리에 16가지의 값을 나타내기 위해 0~9 외에 모자라는 6가지의 수를 알파벳 A, B ... ...
- 진돗개는 과학적으로도 ‘한국 개’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세포에 있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했어요. 미토콘드리아 DNA는 생물 계통을 분류할 때 사용된답니다. 연구팀은 진돗개의 미토콘드리아DNA를 품종이 다른 개 79종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다른 개가 갖고 있지 않은 고유한 DNA 부분을 아홉 개나 찾아냈어요. 진돗개가 고유한 품종이라는 증거지요 ... ...
- 바닷물에서 에너지 얻는 해파리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9호
- 도와 주겠니?우리는 바닷물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최초의 해저로봇이에요. 해저 탐사용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깊이 잠수를 할 수 있는 대신 빨리 헤엄치기는 어려워요. 그래서 멀리 헤엄쳐 가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답니다. 혹시 해저 정복에 관심이 있다면 연락 주세요. 하지만 수압 때문에 닥터 ... ...
- 2012 토슨 브릿지학회 피카소부터 마임까지 융합수학이 떴다!수학동아 l2012년 09호
- 보는 사람에게 안정감을 준다. 하지만 게르니카에선 대칭 구조에 서로 반대되는 색을 사용해 오히려 불안감을 주는 효과를 낼 수 있었다.두 번째는 프랑스의 수학자 쥘 앙리 푸앵카레가 제시한 4차원과, 현대 수학의 아버지 다비드 힐베르트가 발견한 힐베르트 공간을 구현했다는 것이다. 작품 속에 ... ...
- [시사] 배트맨 VS 스파이더맨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이동방향을 결정해 바퀴살이 벌어져야 하는 각도를 계산한다. 거미가 벡터의 개념을 사용하는 셈이다. 벡터란 크기와 방향을 동시에 가진 물리량으로, 여기서는 거미의 현재 위치와 나중 위치가 벡터다.이때 중력은 거미집의 모양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다. 완성된 거미집이 비대칭인 이유도 ... ...
이전5555565575585595605615625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