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뉴스
"
화학
"(으)로 총 6,98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적합한 뉴런으로 정상 발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다른 뉴런과 전기
화학
신호를 주고받는 부위인 수상돌기가 제대로 작동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쥐에게 시각 자극을 주면 새로 생긴 뉴런이 반응해 수상돌기에서 신호를 만들었다. 그동안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뇌의 일부가 ... ...
암 투병 소녀, 마지막 눈썹
2016.11.12
지난 6월 암 진단을 받았다. 콧속에 5cm가량의 종양이 있었던 것이다. 수 개월 동안
화학
요법 치료를 받다보니, 헤일리의 눈썹은 거의 다 빠져버렸다. 아빠 앤드류 브라운은 마지막 남은 눈썹 하나를 촬영해 페이스북에 공개했다. 사진은 해외 네티즌 뿐 아니라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많은 ... ...
원전-터널 균열 부위가 저절로 메워진다면
2016.11.11
‘유럽 발명가 대회’ 2015년 최종 우승후보 팀에 들기도 했다. 정찬문 연세대
화학
및 의
화학
과 교수는 “가격이 비싸 상용화가 어렵지만 사회적 합의가 된다면 가능할 것”이라며 “원자력발전소나 터널 등 안전을 중시해야 하는 건축물을 만들 때 유용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가치유물질은 ... ...
표범의 추억
2016.11.08
하는 생각이 들었다. 사전을 보니 역시 살쾡이였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
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로 경유 만든다
2016.11.08
대응하는 데 큰 보탬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재성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에너지 및
화학
공학부 교수팀은 이산화탄소를 수소와 반응시켜 경유의 주성분인 ‘액화탄화수소’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촉매 ‘델라포사이트’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수소는 친환경연료지만 수소자동차가 거의 ... ...
[과학을 보는 창, 저널] 독성학 (International Journal of Toxicology)
과학동아
l
2016.11.07
연구 결과를 발간한 학술지가 있다. 1989년부터 발간된 국제학술지 ‘독성학’은 다양한
화학
물질이 인체와 동물의 건강에 미치는 부작용을 다룬 연구 결과들을 싣는다. 엄격한 피어리뷰(전문가 동료 평가)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다. 학술지의 영향력을 반영하는 임팩트 팩터(IF)는 작년 기준 3.81 ... ...
치즈에 대한 궁금증 4가지
2016.11.06
빨리 굳습니다. 팜유로 만들어 식었을 때 기름처럼 투명해지기도 하죠. 고소함보다
화학
적인 느끼함이 강하다면 모조치즈로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Q4. 슬라이스 치즈도 자연치즈가 아니에요? 슬라이스 치즈는 가공치즈입니다. 자연치즈에 분유, 버터, 유화제 등을 섞어 만들죠. 자연치즈보다 빨리 ... ...
“크리스퍼 개발했을 때 가장 먼저 난치병 환자 치료 떠올려”
2016.11.04
박사학위를 받았다. 크리스퍼를 개발한 공로로 톰슨로이터가 선정한 ‘2015 노벨
화학
상 수상자 예측’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2014년에는 독일 정부가 5년 동안 500만 달러(약 57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는 ‘알렉산더 훔볼트 교수상’도 수상했다. 샤르팡티에 교수는 “대학원 시절을 포함해 2 ... ...
당뇨병 환자 콕 집어내는 초고성능 가스센서 나왔다
2016.11.02
가스 누출을 확인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
화학
회에서 발간하는 학술지 ‘ACS 나노(ACS Nano)’ 9월 24일자에 게재됐다. ... ...
먹는 시금치로 지뢰를 찾을 수 있다고?
2016.11.02
감지 결과를 받아볼 수 있었다. 연구를 주도한 민 하오 웡 미국 매사추세츠 공대
화학
공학부 박사과정생은 “바이오센서를 통해 식물로부터 실시간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 셈”이라며 “지뢰 위험지역에 적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농업 분야에서 작물 수확량을 파악하는 등 다양한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