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뉴스
"
새로운
"(으)로 총 11,933건 검색되었습니다.
DNA메모리·무인이동체 등 5개 기술 개발 민간전문가에게 전권 준다…6G도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DNA 메모리 등 5개 프로젝트에 대해 규제를 혁신하고 민간전문가가 전권을 갖고 추진하는
새로운
R&D 모델을 추진할 계획도 밝혔다. 디지털 재교육과 경력 전환 플랫폼을 구축하는 방안 등 미래를 위한 인력 교육 지원 계획도 포함됐다. 현재의 5G 이동통신을 넘어서 6G 시대를 미리 대비하기 위한 R&D ... ...
"코로나 이후 미래준비 과기정책, 민간참여 대폭 확대한다"
연합뉴스
l
2020.08.06
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과학기술 혁신 방향을 담은 '코로나 이후,
새로운
미래를 준비하는 과학기술 정책방향'을 의결했다. 정부는 미래를 준비하고 국가적 위기상황에 대한 과학기술의 역할을 강화하고자 5개 주요 정책방향을 제시했다.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분광학, 천문학의 새 장을 열다
2020.08.06
생각했으나 결국 로키어는 새로 발견한 선이 그때까지 지구상에서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원소라고 결론지었다. 이 원소는 태양을 뜻하는 그리스 신화의 태양신 헬리오스에서 이름을 따 헬륨이라 불렀다. 지구에서 헬륨이 발견된 것은 1895년이다. 헬륨은 수소 다음 원자번호 2번에 해당하는 ... ...
'힉스 입자'의 뮤온 직접 붕괴 실험으로 첫 확인...한국CMS팀 큰 기여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않는 이 붕괴 경로를 한국CMS가 2012년 초부터 연구했다. 양 교수는 “한국CMS가 개발한
새로운
도구를 활용한 덕분에 당초 예상되던 2030년보다 10년 빨리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그는 “암흑물질이 존재할 경우 뮤온과 마찬가지로 힉스 입자와 상호작용이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번에 ... ...
고체 물성 좌우하는 양자 특성 측정 길 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양범정 기초과학연구원(IBS) 강상관계물질연구단 교수(서울대 교수)와 임준원 책임연구원, 김규 한국원자력연구원 책임연구원팀은 고체의 ‘ ...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양자거리가 신뢰도와 매우 밀접한 만큼 이들 분야에
새로운
고체 재료를 응용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 ...
후추에서 특정 암세포만 골라 죽이는 물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큰 성과 같다. 다른 약물이 발굴될 가능성은. -맞다. mTORC1 의존적인 암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표적을 찾은 것이 사실 가장 큰 성과다. 스크리닝에서 나온 다른 물질도 후보가 될 수 있고, 이 논문에서 찾은 파이퍼롱구민의 유도체를 만들어서 더 우수한 효과를 내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RUVBL1/2를 ... ...
건설 기술도 멋진 스타트업 창업 아이디어가 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스마트건설 창업아이디어 공모전’을 연다고 이달 5일 밝혔다. 공모전은 건설분야에서
새로운
창업아이디어를 갖고 지속적인 활동 의지가 있는 예비창업자와 초기창업자면 누구나 참가할 수 있다. 참가를 희망하는 이는 다음 달 11일까지 2020 스마트 건설기술·안전대전 홈페이지(www.smartconstsafety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바라카 원전의 시운전을 지켜보며
2020.08.05
잊지 말아야 하는 명백한 역사적 팩트다. 신재생의 극단적인 간헐성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할 수 있는 경제적 여유가 필요하다. 친환경성이 확인‧검증된 원전을 통해서만 가능한 일이다. 우리가 어떤 기술이나 뚝딱하고 만들어주는 요술 방망이를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남이 ... ...
'디스플레이를 안테나로 쓴다' 홍원빈 교수 이달의 과학기술인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이달 5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홍 교수는 ‘디스플레이 내장 안테나(AoD)’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초고주파수 대역에 최적화된 밀리미터파 5세대(5G) 이동통신 단말 안테나 원천기술을 개발해 데이터 고속도로의 핵심 인프라 구축에 기여했다”고 수상 이유를 밝혔다. 홍 교수는 ... ...
정확도 높고 자원 소모량 줄인 '양자컴' 오류수정 알고리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05
‘미래의 컴퓨터’로 꼽히는 양자컴퓨터의 정보 오류를 수정해 연산의 정확도를 높이는
새로운
기술이 개발됐다. 연산에 필요한 자원은 이전보다 절 쓰면서 정확도는 향상돼 양자컴퓨터 상용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대는 정현석 물리천문학부 교수와 스리크리슈나 옴카 연구원팀이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