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3) 인공단백질 합성방법 5가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또는 몇개를 다른 아미노산으로 갈아끼운다. 그 특정자리의 아미노산이 그 단백질의
생물
활성이나 안정성 유지에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낼 수 있다.둘째, 한 천연 단백질의 부분구조와 다른 천연 단백질의 부분구조를 짜깁기 식으로 이어 붙인다. 이 방법으로 한 단백질에 두가지 이상의 ... ...
제주도 양치식물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취미삼아 해온 생태사진을 더 열심히 찍어 전시회라도 한번 해보고 싶습니다.김인진-
생물
교과에서 고사리에 대한 공부는 세대교번, 생식 분야에서 비중이 높습니다. 그러나 고사리의 내용이 이렇게 많은 줄은 미처 몰랐습니다. 포막의 형태 등을 가지고 동정하는데 흥미를 느꼈습니다. 그러나 ... ...
퍼지이론, 인간두뇌 같은 컴퓨터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문장요약에도 이용될 수 있다.무엇이든 수학적인 모델화가 일단 성공하면 물리 화학
생물
생화학 등 모든 과학 분야에 영향을 끼친다. 그러나 중요한 수학 원리는 철학적이다. 고전 물리학에서 양자역학으로 비약할 때 '불확정성 원리'의 철학이 제기됐다.고전 논리(Yes, No의 2차적인 것)에서 퍼지를 ... ...
생물
- 지문과 주름, 무엇이 다른가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무심코 지나치기 쉬운 인간의 피부는 알고보면 엄청나게 많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사람마다 제각각 다른 지문은 손으로 물건을 쥐는 사람과 원숭이만 가진 것으로, 평생 변하지 않는다.대다수의 사람들은 피부의 실체를 모른다. 그저 눈에 보이는 인체의 표면으로 생각하는 정도다. ... ...
(2) 유전공학 이용 생체설계 꿈꾼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무리없이 진행시키고 있는 것은 효소라고 하는 한 무리의 단백질의 힘이다.그 훌륭한
생물
활성은 그저 신비스럽다는 말밖에 다른 말을 찾을 수 없다.인공단백질에서 연구대상으로 삼는 단백질도 거의가 이 효소단백질로서 보다 활성이 좋은 효소를 설계하고 합성하려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왜 ... ...
(4) 의약·산업분야 대변혁 예고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것이다.지금까지 기계는 물리적인 힘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화학적인 힘,
생물
의 힘으로 더욱 작으면서 효율이 높은 자기 수복성, 자기 증식성을 함께 지닌 소프트한 분자머신이 등장할 날이 올 것이다.AIDS 치료에도 이용사람이 가지고 있는 면역 글로블린(IgG)항체의 구조는 (그림1)와 ... ...
동물도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사고에 의한 것인지를 두고 격렬한 논쟁을 벌이곤 한다. 오로노 소재 매인대 야생
생물
학 교수인 레이몬드 J. 오코너 박사는 함께 부화한 한배의 어린 새들이 서로 싸우는 대신 형제에게 순순히 죽임을 당하는 모델을 발견했다.예를 들어 목에 갈기가 있는 펭귄(crested penguin)의 어미는 한 철에 하나는 ... ...
'양치식물의 천국' 제주도
과학동아
l
1994년 09호
탐사에 들어가기 전 이창복교수는 한 식물을 들고 이름을 물었다. 알아맞춘 사람이 2명.
생물
을 전공한 현직교사들뿐 아니라 일반인의 양치식물에 대한 지식수준을 보여준다는 것이 이교수의 말. 아무것도 모른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출발한다는 의미다.먼저 양치식물을 관찰하는 법을 간단히 ... ...
(2) 오염 피해 수중과 우주로 이주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이 발표된 지 이제 한세기 반밖에 흐르지 않은 사이에 인간의 문명은 우주와 지구 그리고
생물
의 신비를 하나씩 벗겨가고 있다. 이제 인간의 손으로 인간을 창조하는 시대가 눈 앞에 와 있는 것이다.인간에 의한 인간의 창조는 오랫동안 인류사회의 희망같은 것이었다. 인간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 ...
놀라운 식물의 방어전략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새로운 전략이다. 즉 '적의 적은 나의 친구'라는 인간들의 정치적 개념을 식물들이
생물
의 세계에도 적용시킨 놀라운 전략인 것이다.옥수수싹(묘종)은 풀쐐기(모충)의 공격에 많은 피해를 입는다. 풀쐐기를 제거하지 않으면 그 풀쐐기는 옥수수 거의 전부를 게걸스럽게 먹어치우게 된다. 그러나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