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
구
뽈
교회 점토
보울
빰
ball
d라이브러리
"
볼
"(으)로 총 10,576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2월 14일 반달과 플레이아데스 성단의 만남맨눈으로도 자잘한 별이 모여 있는 모습을 잘
볼
수 있어 ‘좀생이별’이라는 별명이 붙은 황소자리 플레이아데스 성단에 반달이 접근한다. 플레이아데스 성단이 밤하늘 어디 있는지 확인하고 싶은 사람은 이날 밤, 달 바로 옆 소곤거리듯 붙어 있는 ... ...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하는 것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 존재하는 동영상 자료를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에
볼
수 있게 해준다전송되는 데이터를 마치 지속적인 물흐름처럼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의 성장과 함께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용자가 바로 다운로드할 수 없을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자주 쓰인다. 딸기 무스에 크림을 묻혀 액체질소에 담그면 코팅된 크림이 얼면서 하얀
볼
이 만들어진다. 입안에 넣으면 차가운 크림이 녹으면서 무스의 새콤한 딸기향이 퍼진다. 요리에도 유머가 있다엘 불리의 요리사들은 매년 4월 문을 열기 전 3개월 동안 새로운 요리를 연구한다. 그 가운데는 ... ...
PART 1 한국 최초 우주인 탄생 D-99 체크리스트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걸쳐 이뤄진다. 중력이 거의 없는 ISS에서의 생활과 창을 통해 지구의 모습을 생생하게
볼
수 있을 전망이다. 또 매일 진행되는 교육실험을 녹화한 동영상과 사진이 방송과 인터넷을 통해 공개될 예정이다.스타시티에서 온 편지러시아 가가린우주센터에서 훈련을 받고 있는 두 우주인이 과학동아 ... ...
과학동아 1월호 특별선물 액정온도계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주는 온도계가 바로 ‘액정온도계’다. 디지털 온도계처럼 현재 온도를 숫자로 바로
볼
수 있지만 건전지가 필요 없다. 게다가 두께가 1mm밖에 되지 않아 책갈피로 갖고 다니며 필요할 때마다 꺼내 쓸 수 있고 어디든지 걸 수도 있다.이런 온도계를 가능케 한 일등공신은 바로 ‘액정’이다. 대부분 ... ...
러시아자연사박물관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전시가 아냐! ‘어린이고생물학자체험교실’에 참여하면 진짜 고생물학자의 경험을 맛
볼
수 있단다.커다란 공룡 입에서 사진을 찍고 3D영상과 그림으로 공룡과 맘모스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느껴 보렴. 러시아자연사박물관 로즈노프 세르게이 부관장님은 어릴 적 자연사박물관에서 화석 발굴 체험을 ... ...
하늘에서 떨어진 얼음 별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눈송이는 여러 개의 눈 결정이 모여 이루어져 있어요. 세상에 같은 모양을 가진 눈의 결정은 하나도 없대요. 하지만 공통점이 하나 있어요. 눈의 결정이 모두 육각형을 이 ... 서리가 내려앉은날 돋보기로 한번 들여다보세요.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진 육각형의 작은 별을
볼
수 있을 거예요 ... ...
북극 종자은행, 냉각 시작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맨눈으로 입체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360˚ 모든 방향에서 영상을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도 있다 회전 스크린 방식이 대표적이다지질단백질 중 콜레스테롤 함량이 가장 높고 혈관 벽에 붙어 동맥경화증을 일으킨다간에서 합성돼 혈액으로 분비되며 저밀도지질단백질을 ... ...
아파트 숲에서 달을 쫓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 1월 22일 수성 동방최대이각태양에 가장 가까이 있는 행성인 수성이 지구에서
볼
때 가장 동쪽으로 치우친다. 저녁 해가 진 직후 서쪽 하늘에 고도 18° 정도(한 손을 앞으로 쭉 뻗어 손바닥을 폈을 때 엄지와 새끼손가락 한 뼘 높이)로 낮게 뜬다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들었다는 소식이 아직 들려오진 않지만 전문가들은 벤터 박사의 지금까지 연구 성과를
볼
때 불가능한 일은 아니라고 말한다.이와 반대로 ‘무’(無)에서부터 생명체를 합성하려는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이탈리아 로마 제3대학의 피어 루이지 교수는 벤터 박사의 연구가 생명체를 창조하는 것이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