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d라이브러리
"
끝
"(으)로 총 5,647건 검색되었습니다.
보이지 않는 비행기 스텔드 최초로 모형공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비행기이다. 아직 미 공군에서 구매계약을 하지는 않고 있으나 88년까지 B-IB의 제작을
끝
내고 후속 전략전투 폭격기로 채용될 가능성이 있다.스텔드의 쟁점은 미 공군사상 가장 값비싼 무기체계가 된다는 점과 레이다에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소련의 고주파 레이다 장파에는 얼룩 정도로 나타날수 ... ...
1M D 램급 256K S램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연구원 외에 디바이스 개발팀 등 40여명의 개발팀을 85년 3월에 발족하여 꾸준한 연구개발
끝
에 불과 1년 반만에 개가를 올리게 된 것이다. 256K S램은 64K S램보다 4배가 높은 집적도를 가진 첨단제품으로서 손톱만한 크기의 칩속에 1백50여만개의 트랜지스트와 저항을 집적시킨 반도체로서 보통 신문지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오랫동안 그들 자신의 자료를 믿지 못하고 발견못한 측정오류일 것이라는 추측을 한
끝
에, 그들은 마침내 1985년 5월 결과를 발표하였으며, 관찰된 남극 위의 오존구멍은 대류권의 불화염화탄화수소의 농도증가에 기인한다는 추측에 근거를 제시했다. 이 효과가 남극 위에서 그리고 계속해서 특정 ... ...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에 기여할 터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싶은 분야는 '소프트웨어엔지니어링' 입니다. 소프트웨어가 개발됐다고 해서 모든 것이
끝
나는 것이 아닙니다. 현실은 자꾸 변하는 것이고 그에따라 실질적인 적용은 더욱 많은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속도로를 만들어 놓고 많은 유지보수비가 들듯이 질이 좋지 않은 소프트웨어는 생명이 길지 ... ...
백두산의 희귀식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잎이 길쭉하고 뒷면은 흰분을 쓴 것같다. 꽃은 방울모양이며 분홍색 또는 백색이고 가지
끝
에서 여러개가 나온다. 높은 산의 습원(濕原)에 나는데 일본의 본주 중부 이북의 습원과 북반구의 한지(寒地) 습원에 분포한다.바위구절초는 들국화의 한 그룹인 구절초 무리에 속한다. 잎이 가늘게 째진점은 ... ...
문화재의과학 발굴·복원·연대측정의 방법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때 사용되는 접착제는 에폭시계 접착제, 셀룰로스계 접착제 등을 사용한다.□
끝
손질지금까지의 과정에 의해 접합 복원된 유물은 손질 부분을 그대로 두면 보기에 거슬리므로 주위의 색과 조화되게 고색(古色)처리를 해야 한다. 이 때 색깔의 맞춤 정도는 고색처리 후 30cm 거리에서는 고색처리한 ... ...
국토개발과 자연보존이 조화이루어야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이득을 볼 수 있는 학문이 돋보이는 게 요즘의 세태이고 보면, 가령 나비의 아래입술수염
끝
에 있는 후각기가 왜 애벌레 때는 없다가 나비가 되면서 생기는가를 연구하는 일은 부질없는 노력의 낭비나 시간허비쯤으로 여겨지기 십상이다. 이른바 기초과학, 그중에서도 연구자가 드문 곤충생리학을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6개 동 원형극장및 15동의 부속건물이 포함돼 있는 동양최대의 건축물 건립을 3년미만에
끝
내려한것 자체가 무리였다. 외국의 기념관 건물에서보듯이 최소한도 5년이상의 공기와 긴 세월의 토론과정을 거쳐 결정한 예는 얼마든지 찾아볼 수 있다. 또한 애초에 흙기와를 덮기로 설계됐으나 ... ...
식물공장을 목표로 농업에서의 컴퓨터 혁명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종합첨단기술 다시 (그림2)의 계통수 우측을 살펴보자. 재배관리분야의 가지
끝
에는 식물공장이 있다. 이 분야는 아직까지 기술적으로도 경제적으로도 실현이 곤란하다. 다양한 첨단기술의 종합화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재료공학 건축공학 설비공학 에너지분야 등 모든 학문으로부터의 접근은 ... ...
인간의 시각기능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예처럼 실제로 있을 수 없는 물체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능력이 없을지도 모른다.
끝
으로 세계적인 걸작품인 이조백자를 예로 들어보자. 백자의 무늬 중 윗 부분의 달이 바로 아래의 하늘보다 밝게 빛나고 있으나 실은 하늘보다 어두운 색이다. 사람 시각의 특성을 잘 이용한 예술의 진수인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