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시사과학 뉴스] 콜록콜록, 독감 환자 급증!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특징은 백신을 맞은 사람 중에서도 독감에 걸린 사례가 많다는 점이에요. 왜 이런
일
이
일
어난 걸까요? 세계보건기구(WHO)는 매년 유행할 독감 바이러스 3종을 예측해서 발표해요. 여기에는 A형 H1N1과 H3N2가 포함되고, B형은 빅토리아와 야마가타 중 1종이 포함되지요. 올해 세계보건기구가 예측한 B형 ... ...
작심삼
일
, 네 탓이 아니야!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묶어놓은 덕분에 섬을 무사히 통과한다. 사실 세이렌은 뱃사람을 섬으로 유혹해 끌어들
일
뿐 아니라 잡아먹어 버리는 무시무시한 종족이다. 자제력이 부족했다면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에게 잡아 먹혀 영영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을 것이다 ... ...
[영재교육원 탐방 2] 극단으로 간 영재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창의인성교육이란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동시에 더불어 살 줄 아는 인재를 양성하는
일
이다. 과학과 수학 실력도 중요하지만 창의력과 인성을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학생을 선발할 때도 배운 지식을 활용해서 창의적으로 답할 수 있는지를 중점적으로 본다. 현재 부산대 ... ...
Intro. 패럴림픽의 슈퍼휴먼들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parallel(나란한)’을 뜻한다.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은 3월 9
일
부터 18
일
까지 평창
일
대에서 열린다. 올림픽을 개최한 지 정확히 한 달 뒤에 같은 장소에서 여는 규칙을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총 36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이며, 북한에서도 2명이 사상 처음으로 출전한다. 올림픽으로 충분히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
수학동아
l
2018년 03호
금메달이지만, 강호인 미국팀과 캐나다팀을 지금까지 이겨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일
단 결승전 까지는 가려고요. 우리나라에서 경기가 열리는 데다, 올라갈수록 응원도 많을 것 같아서 미국팀이나 캐나다팀을 한 번 정도는 이기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요. 요즘은 어떻게 연습을 하고 있나요 ... ...
[과학뉴스] 디카로 찍은 원자 하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2월 12
일
영국 국립공학및자연과학연구위원회(EPSRC)가 ‘2018 과학사진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을 공개했다. 1등으로 선정된 작품은 영 ... 찍힌 점은 실제 원자보다 훨씬 크다.EPSRC는 “단
일
원자를 맨눈으로 확인했을 뿐 아니라
일
반 카메라로 담았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학교 안에서는 손도 안 잡아요. 친구를 만날 수도 있다면서요. 길에서는 절대 안아주는
일
도 없습니다. 제가 왜 이렇게 애정 표현을 하지 않느냐고 투덜대면 “좋아한다고 말하지 않았냐”며 “이보다 더 좋은 표현이 어디 있냐”고 하네요. 저는 이런 남자친구의 사랑 표현이 너무나 답답합니다. ... ...
[Issue] 과학기술 대국에서 강국으로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정부의 과학기술정책이 결실을 맺은 셈이다. 필자는 한국의 과학기술정책도 오랫동안
일
관성을 가지고 추진돼야 한다고 생각한다. 국가 발전에 기여할 방향으로 로드맵이 수립됐는지 점검하고, 과학기술이 정치를 위한 들러리로 악용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확인해야 할 때다. 정권 교체 때마다 ... ...
[Issue] 노벨상 산실 가속기 누가 먼저 짓나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ILC 개발에 적용한 기술은 기본적으로 동
일
하다”고 말했다. ILC는 CEPC와 목적이 비슷해
일
본과 중국은 가속기 연구에서 경쟁자이자 동시에 협력자 관계를 맺을 것으로 보인다. 김 교수는 “ILC와 CEPC는 실험 결과 데이터를 공유하고 함께 분석하는 등 상호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
과학동아
l
2018년 03호
LED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니 너무 아까운 생각이 들어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일
단 페로브스카이트가 상온에서 빛을 내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큰 숙제였다. 전자와 정공의 거리가 멀어 정전기적 인력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거리를 줄이면 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아이디어였다. 이 교수는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