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최신이론 플룸구조론이란?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가깝다.지구 외의 내행성에 판구조운동이 있는가하는 문제는 행성지질학을 공부하는
학자
들의 지대한 관심사 중 하나다. 일반적으로 내행성들이 진화하는 속도는 열의 손실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관련된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이 요인에는 태양계에서의 행성의 위치, 방사성 핵종을 ... ...
(1) 우주탄생 비밀 캐는 새방법 제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포도주 한병을 놓고 자신의 라이벌인 오스트라이커와 내기를 하고 있는 칼텍의 천체 물리
학자
손의 말이다.중력파는 어떻게 움직이나중력파는 공간과 물질을 수축시키므로 이를 통해 중력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림)처럼 중력파가 원기둥을 통과하는 장면을 상상해보자. 중력파가 원기둥의 한쪽 ... ...
슈메이커-레비혜성의 핵은 21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공룡을 절멸시켰던 지구와 소행성의 충돌 당시와 거의 맞먹는 것으로 예상된다. 천문
학자
들은 1천년 만에 한번 있을까 말까 할 정도의 희귀한 현상이라는데 의견이 일치한다.지금까지 밝혀진 충돌 상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충돌할 당시의 속도는 시속 60㎞이며 목성과 혜성의 거리는 약 1 ... ...
공룡 절멸시킨 충돌소행성 크기에 새 가설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지름 3백㎞나 되는 제 4의 원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그러나 아리조나대 지질
학자
이자 캐나다 지질학조사소의 연구원인 힐도브란드라 팀은 이 가설에 대해 회의적이다. 충돌 때에 일어나는 원추형 암석판을 지름 3백㎞의 바깥쪽에서 발견하지 못하면 증명될 수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 ...
PART. 3 PC의 새 개념 멀티미디어 열풍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당시 광경을 영화같이 생생하게 보는 동시에 인물 및 지리에 대한 각종 정보와 함께 역사
학자
들의 평가 등도 간단한 버튼조작으로 손쉽게 검색할 수 있다.이에 따라 멀티미디어를 교육분야에 활용 할 경우 학습자 마음대로 정보를 사용할 수 있고 현장감을 통해 이해력과 기억력의 폭을 증진시킬 수 ... ...
오리온의 북쪽과 남쪽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왜 은하계의 많은 별들이 대체로 따로 떨어져 있는 것일까.메사추세츠 대학의 천문
학자
카렌 스트롬과 그녀의 동료들은 아직 많이 연구되지 못한 오리온 성운의 남쪽자리를 조사한 적이 있다. 그곳에는 수백개의 새로운 별들이 작은 무리를 지어 있었다. 그 구역에 있는 한 성운에는 10개에서 50개 ... ...
베들레헴별은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어떤 별일까.베들레헴별에 대해 최초로 과학적인 접근을 했던 사람은 유명한 천문
학자
인 케플러. 그는 B.C.7년에 목성과 토성이 물고기자리에 접근하는 것을 계산으로 도출해내고 이것이 예수탄생별이라고 주장했다. 고대천문학을 전공한 일본의 사이토는 케플러의 계산을 확인한 결과 B.C.7년 5월2 ... ...
동물들의 의사교환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제기되고 있다. 일부 공룡들이 초저주파 음파를 사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을 펴는 고생물
학자
도 있다. 그는 몇몇 공룡들이 잡음을 만드는 일종의 공명실(共鳴室)을 자신의 몸안에 지니고 있었음을 근거로 내세운다.동물과의 대화는 다소 어렵긴 하지만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그들의 의사교환 수단과 ... ...
기후와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숲은 사라지고, 따라서 그들이 가지고 있던 탄소는 다시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다른
학자
들의 주장에 따르면 북극의 기후가 더워짐에 따라서 더 많은 미생물이 아주 더디게 자라나는 식물을 먹고, 이로 인해서 그 지역의 이탄(泥炭)과 얼어있는 땅은 원래의 양보다 더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 ...
지구과학 - 우주의 중심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체계나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 체계는 그들 혼자서가 아니라 이미 수천년 전부터 여러
학자
의 주장이 수없이 엎치락 뒤치락하던 끝에 이루어진 것이라는 사실에서 학문 발달과정의 일단을 엿볼 수 있을 것이다. 또 코페르니쿠스의 우주관에 관한 혁명적인 생각은 바로 고대의 우주관을 잘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