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방
구역
지대
지구
고장
존
시골
d라이브러리
"
지역
"(으)로 총 6,494건 검색되었습니다.
정체 드러내는 「신의 아들」엘니뇨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절반으로 줄어 들었다. 또한 아열대 제트기류가 강화돼 미국 캘리포니아와 멕시코만 북부
지역
은 심한 폭풍우를 겪었다. 이 엘니뇨가 진행되는 동안 전세계적으로 약 80억달러에 달하는 재산상의 피해를 입은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비해 1986~87년 엘니뇨는 상대적으로 약했다. 켈빈파와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하천의 침식으로 인해 생긴 것이다. 그러면 하천의 침식속도는 얼마나 될까. 이는 환경과
지역
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나 분명한 것은 1년에 1mm 이내이며 빨라도 1mm를 크게 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2, 3km의 계곡이 만들어지는 데에는 수백만년이 소요됐을 것임을 간단히 알 수 있다. ... ...
4 개인용전화기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텔렉스 조난통신서비스 등을 받을 수 있게 한다. 2단계는 94년까지 태평양 인도양
지역
의 데이터통신서비스를 완료하는 것이다. 3단계로는 97년까지 통신위성을 이용, 항공기에서 국내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마지막 4단계는 선박 항공기 등을 국제이동체통신망에 연결해 디지털전화 고속데이터통신 ... ...
고선명 텔레비전(HDTV)에는 필수적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특징. 지상 TV는 아무리 중계탑을 많이 세워도 직진성이 강한 TV전파가 미치지 못하는
지역
이 있게 마련이다.또 다른 위성 TV의 장점은 위성에서 직접 각 가정으로 전파를 쏘기 때문에 영상이 이중화되는 고스트현상이 생기지 않아 항상 선명한 화상을 즐길 수 있다는 점이다. 지상 TV의 경우 직접 ... ...
천마(天馬)로 환생한 메두사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거쳐 전라도까지 별밤을 맞이할 수 있는 가능성은 50% 이상이다. 요즘이 우리나라의 많은
지역
에서 밤하늘을 보기에 가장 좋은 때이지만 저녁 하늘은 생각만큼 멋진 별밤을 보여주진 못한다. 앞의 별지도를 보면 이 말이 뜻하는 바가 무엇인지 알게 될 것이다. 단지 하나의 1등별 포말하우트만이 남쪽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대홍수는 큰 격변이었음에 틀림없다. 이 천재지변의 격변을 배제하면 지구의 거의 모든
지역
에 매장돼 있는 석탄이나 석유의 생성기원에 대해서도 잘 설명할 수 없다. 지구상에 나무가 아무리 무성하게 자랐고 서식하는 생물이 많았다고 하더라도 그것을 땅에 그대로 묻어서는 석탄이나 석유가 ... ...
희귀생태계 간직한 알다브라, 관광지로 개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보호기금으로 활용하겠다는 것이다.지난 82년 유네스코는 알다브라를 세계적인 보호
지역
으로 지정한 바 있다. 이 섬에는 주인격인 파충류 외에도 대륙과는 판이한 양상을 보이는 식물군락과 쥐 나비 기타 해양생물들이 살고 있다.한편 세이셸 기금측은 알다브라 관광코스의 청사진을 공개했다. 이에 ... ...
식어가는 온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리고 유기물질이 부식하면서 메탄가스를 만들어 낸 것이다.1970년대에는 압력받은
지역
에 구멍을 파는 간단한 작업이 지열의 분출물과 메탄가스나 천연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리라고 짐작되기도 했다.그후 수년간의 연구는 이러한 낙관적인 가능성을 줄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 에너지부의 ... ...
하루에 수t이 쏟아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그 유성이 지나간 고도와 방향들을 그려낼 수 있다.둘째 유성은 순간적인 현상이고
지역
차이가 크므로 정확한 시간의 기록이 필요하다. 특히 유성우는 자주 출현하므로 조금만 떨어진 곳에서 관측하더라도 시간이 정확히 기록돼 있지 않으면 동일유성인지 아닌지 분간하기 힘들다. 보통 1, 2초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약하고 유전적으로 열등하고 늘 문제를 일으키는 존재로 잘못 인식돼 왔다. 그래서 일부
지역
에서는 왼손의 사용을 강제로 제한하기도 했다. 유럽에서도 펜의 등장 후 왼손으로 글씨쓰는 것을 금기시했다. 어린이들에게 글씨를 오른손으로 쓰라고 강요했고 그런 경향은 다소 완화되긴 했으나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