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유익
아전
서리
이두
이토
이를지부
d라이브러리
"
이
"(으)로 총 29,006건 검색되었습니다.
[화보] 생태연구자 봄을 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안녕하세요, 어과동 독자 여러분! 저는 야외 생태학자를 꿈꾸며
이
화여자대학교 행동생태실험실에서 일하는 배윤혁 연구원입니다. 지구사랑탐사대에서 수원청개구리와 ... 탐사 중에 만날 수 있었어요. 개구리가 우는 밤
이
될 때까지 기다리는 게 그리 지루하지만은 않은
이
유랍니다. ... ...
좀비가 된
이
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퍼져 근육을 수축시키면서 개미를 조종한다는 점을 알게 됐어요. 오피오코르디셉스 곰팡
이
는 포자를 퍼뜨려 더 많은 좀비 개미들을 만들기 위해 개미들을 높은 곳으로 옮기고 개미가 죽어서도 나무 줄기나 잎에 매달려 있도록 턱을 수축시켰답니다 ... ...
[과학뉴스] 뱀독 해독제 개발에 천억 원 쓴 비영리재단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매년 12만 명
이
상
이
뱀에 물리는 사고로 목숨을 잃고, 40만 명은 다리 절단과 같은 장애를 입어요. 하지만 현재 해독제에 관한 연구는 미진한 상태지 ... 사람들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으면서도 제작 비용
이
저렴한 해독제를 개발한다고 발표했답니다 ... ...
[과학뉴스] 초소형 벌새 로봇 개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벌새는 눈에 보
이
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날갯짓을 하며 민첩하게 비행해요. 최근 미국 퍼듀대학교 신얀 덩교수가
이
끄는 바
이
로로보틱스 연구팀은 생김새 뿐만 아니라 비 ... 공간을 파악하기 때문에 재난 현장과 같
이
지도가 없고 어두운 곳에서 활약할 수 있을 것”
이
라고 덧붙였어요 ... ...
[실전!반려동물] 우리 새가 달라졌어요 : 편식 편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수의사. 건국대학교에서 수의학 박사를 받았으며, 최영민동물의료센터를 운영 중
이
다. 서울시수의사회 회장으로도 활동하고 있으며, 현재 ‘TV 동물농장’ 프로그램의 자문을 맡고 있다 ... ...
[과학용어] 지오펜싱 ·외핵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지오펜싱 지오펜싱은 ‘지리’라는 뜻의 영어 ‘Geography’와 ‘울타리’를 의미하는 ‘Fencing’을 합친 단어예요. 위치 정보를 바탕으로 가상의 울타리를 만드 ... 빨라져요. P파는 액체보다 고체에서 빠른 전파 속도를 갖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내핵
이
고체 상태일 것으로 예상한답니다. ... ...
[에디터노트] NASA와 여성, 그리고 노벨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하마터면 놓칠 뻔했다. 10월 18일 오후 11시경, 후다닥 유튜브를 켜고 미국항공우주국(NASA) 채널에 접속했다. 라
이
브 방송
이
한창
이
다. 지상 약 300km를 돌고 있는 국제우주정거장(ISS) 바 ... ’
이
라는 글
이
계속 올라오고 있었다. 과학동아가, 그리고 과학동아 독자들
이
...
[과학뉴스] WHO “한국 청소년 근시 세계 최악 수준”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발병률(67%)보다도 훨씬 높다. WHO는 보고서에서 “시력장애를 겪고 있는 인구의 절반은
이
전에 예방할 수 있었거나, 지금부터라도 진행을 늦출 수 있다”며 “국가마다 자국의 시력 현황을 고려해 적절한 관리에 돌입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 ...
[과학뉴스] 스스로 소리 내는 탄소나노튜브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진동을 만드는지 알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작은 힘을 증폭시켜야 하는 현미경
이
나 양자유체의 점성 등을 측정할 때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 10.1038/s41567-019-0683- ... ...
[과학뉴스] 지진 분류하는 신호등 시스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스위스 연구팀
이
지진 발생 시 뒤따라오는 지진
이
얼마나 강력할지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취리히연방공대 스위스 ... 5%의 정확도로 뒤따라오는 지진의 규모를 예측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네
이
처’ 10월 9일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606- ... ...
이전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5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