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d라이브러리
"
전
"(으)로 총 15,844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가상현실 눈앞으로 다가오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가상현실기기가 스마트 폰처럼 대중화될 것이란 예측에서 나온 과감한 투자였다. 삼성
전
자는 스마트폰을 꽂아 사용할 수 있는 기어VR(오른 쪽 HMD)을 출시했고, 소니·구글·HTC·마이크로소프트 같은 IT기업들도 앞다퉈 가상현실기기 제작에 뛰어들고 있 다. 분명한 사실은, 가상현실이 바로 우리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덩달아 바빠졌다. HMD에 이런 가상감각 장비까지 결합해 사용하면 가상현실을 온
전
히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가상현실 눈앞으로 다가오다PART1. 이곳에 시인이 왔어야 했다!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PART3. 가상현실과 현실을 구분 할 수 없다면 ... ...
사이버 인질범, 랜섬웨어에겐 OO이 답!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또 랜섬웨어가 주로 플래시를 이용해 퍼지기 때문에, 플래시 광고나 영상은 보기
전
에 한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출처를 알 수 없는 e-메일을 열지 않는 건 기본 수칙이다.기본적인 수칙들만 잘 지켜도 여러분의 파일은 무사하다. 매번 이런 수칙을 떠올리고 실행하는 게 귀찮은 일이긴 하지만, ... ...
우리 몸 속에는 ‘녹색갈증’이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사냥꾼이 수십 명의 젊은 부하를 이끌고 높은 산과 넓은 들을 누비는 모습은 수만 년
전
부터 반복된 과정이다. 산을 좋아하는 중년의 사장님은 무의식적으로 원시 시대의 족장 역할을 하고 싶은지도 모른다. 게다가 산에서 내려오면 보통 고기를 구워 먹으면서 집단적인 여흥을 즐기고는 한다. 혹시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하면 할수록 흥미진진한 에피소드와 사연이 쏟아져 나온다"고 말했습니다. 바로 100여 년
전
까지 존재하던 왕조임에도 우리는 그 시대의 진가를 잘 모르고 있습니다. 조선 왕릉 종합학술조사로 그 진가가 널리 알려질 수 있길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돼요. 저처럼 박사 과정까지 마친 사람들도
전
공 분야가 아니면 학사 때 배웠던 내용이
전
부거든요. 그래서 학사과정 때 기초적인 공부를 열심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궁금한 게 있으면 언제든 선배들이나 교수님께 여쭤보세요. 자유롭게 질문할 수 있는 건 학생만이 가진 특권이니까요.“ ... ...
[수학뉴스] 슈퍼컴으로 지구의 속살을 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지난 5월 네팔과 일본에서 지진이 일어났습니다. 도시 가까운 곳에서 일어난 강력한 지진이라 사람들이 입은 피해도 매우 컸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프린스턴대 지구과학 및 응용컴퓨 ... 발표했습니다. 이 지도가 완성되면 앞으로 지진이나 화산 활동을 예측할 수 있을
전
망입니다 ... ...
[재미] 103년
전
발견한 보이니치 문서 외계인 문서의 미스터리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대한 설명일 거라고 추측하기도 한다.영국 맨체스터대의 마르셀로 몬테무로 박사팀은 글
전
체에서 빈도수가 높을 뿐 아니라 골고루 퍼져 있는 ‘키워드’를 찾았다. 이런 방법으로 먼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글을 분석했다. 미국 소설가 허먼 멜빌이 쓴 ‘모비딕’을 분석하면 ‘고래’가, 영국 ... ...
내 손은 동물농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지구사랑탐사대’가 있어요. 지구사랑탐사대원에게 조언을 해 주세요.그동안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동물을 사랑하는 친구들을 만났어요. 다들 아주 멋진 생각을 가지고 있었지요. 직접 만나지는 못했지만 지구사랑탐사대원도 분명 아주 멋진 친구들일 거예요. 앞으로도 계속 멋진 행동을 하길 ... ...
세상에서 가장 큰 블랙홀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우 교수팀이 관측한 이 퀘이사는 태양 420조 개가 동시에 빛을 내는 것만큼 밝았어요. 이
전
까지 가장 강한 에너지를 내는 것으로 관측된 퀘이사보다도 7배나 더 많은 에너지를 뿜어냈지요. 우 교수는 “이번 퀘이사와 블랙홀은 우주의 가장 밝은 등대와 같으며, 앞으로 초기 우주를 연구하는 데 ... ...
이전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