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람냄새 풍기는 자동차 감성공학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질주하는 모습은 박진감을 넘어 아찔하기까지 하다. 사람 허리보다 낮고 1t이 채 안되는
작은
차체에서 폭발해 나오는 엄청난 스피드와 굉음에 누구나 할 말을 잃게 마련이지만 극한으로 치닫는 승부 속에서 과학기술의 진보를 체감한다.첫 우승의 영예를 차지한 프랑스의 르노는 그 뒤 자동차 ... ...
홈즈의 새로운 단짝 '다무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선물을 보내왔다. 선물은 다름 아닌 썰렁 홈즈를 쏙 빼닮은 강아지 한 마리. 그리고
작은
쪽지도 함께 들어 있었다. “이 강아지는 썰렁 홈즈의 단짝이 되어 줄 거예요. 정말 귀엽고 사랑스러운 녀석이랍니다. 다만 조금 많이 먹고 성질이 포악하긴 하지만요. 이름은 ‘다무러’예요.” 팬들의 사랑에 ... ...
오존 구멍 회복이 늦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을 이루며 굳기 65~70, 비중 33~35이다금속제 얇은 판막의 압력 감지 성능을 이용한 압력계
작은
압력변화에도 크게 편향하는 성질이 있어 특히 저기압의 압력 측정에 많이 이용된다 다이어프램의 압력으로 인해 변위된 양을 링크 · 기어 같은 기계장치로 확대하여 그 압력을 원형눈금판의 지침이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동반성은 47cm 망원경으로 발견됐다. 그런데 프로키온의 동반성을 스트루베는 그보다 더
작은
38cm 망원경으로 발견했다. 이것은 아무래도 석연치 않은 결과였다.뉴컴은 해군천문대의 66cm 망원경으로 프로키온 동반성의 확인 관측을 시작했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그는 여전히 동반성을 발견할 수 ... ...
보르네오 밀림에서 정체불명의 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붉은 털을 가진 새로운 동물이 카메라에 포착됐다고 발표했다. 이 동물은 우뚝한 코에
작은
귀, 크고 튼튼한 뒷다리를 가지고 있어 육식성으로 추측된다.새로운 육식동물의 발견은 세계적으로 매우 드문 일이다. 연구팀은 “이 동물은 담비나 사향고향이와 비슷하지만 완전히 새로운 종일지도 ... ...
고환 크면 머리 나쁘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큰 수컷은 두뇌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라큐스대 스코트 피트닉 교수는 박쥐 334종의 두뇌와 고환의 크기를 비교해 영국왕립학회초록 12월호에 발표했다.박쥐는 종에 따라 고환의 크기가 매우 다른 동물이다. 박쥐의 종에 따라 몸무게에서 고환이 차지하는 비율은 0.12~8.4%에 달한다. 영장류는 ... ...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개념은 다분히 사회학적인 구분이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0.00586%라는 극히
작은
유전적인 차이가 외형의 차이를 낳고, 이런 유전적인 형질을 지닌 집단이 환경에 적응하며 수천 년을 지내는 동안 한국인의 얼굴이, 한국인의 습성이, 한국인의 문화가 만들어졌을 것이다. ‘빨리빨리 ... ...
6. 아름다운 조선무 다리 예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따라서 공간 지각력이 발달한다. 골프에 유리한 형태다.목은 짧은 편이다. 쇄골도 짧고
작은
편이다. 그래서 어깨가 약간 좁고 서양인보다 팔의 힘이 적다. 그런데 어깨의 삼각근이 두텁지는 않지만 끝점(종지점)이 길게 위치해 있다. 위팔은 짧고 팔꿈치에서 손목에 이르는 전완이 길다. 대신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뛰어난 8.2m 망원경을 사용해 수시로 관측해 온 미국 연구팀보다 6년 앞선 결과였다.
작은
망원경을 써야 했기에 이 교수팀이 찍은 사진만 750장. 미국 연구팀이 찍은 50장의 15배에 이른다.“우리 연구를 사금 채취에 비유하자면 미국이 강에서 큰 채로 떠올릴 때 한국은 멀리서 보고만 있는 셈이었죠. ... ...
돌개구멍이 만든 조각 공원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만나는 백둔교에서 명지계곡 쪽으로 500m 정도 올라가면 하천 바닥 암반 곳곳에 크고
작은
구멍과 물웅덩이가 셀 수 없이 많다. 항아리 같기도 하고 달 표면의 분화구 같기도 한 구멍이 200여평에 펼쳐져 있어 조각공원을 방불케 한다. 하천 바닥의 암반 위에 어떻게 이런 지형이 만들어진 것일까 ... ...
이전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5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