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가능"(으)로 총 6,7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이점은 신화일 뿐" AI 전문가 장 가브리엘 가나시아 교수 한국에 온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7
- 만들어낸 AI에 대한 신화가 너무 퍼져있을 뿐 AI가 인간과 같은 사고방식을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 가나시아 교수는 2017년 한국에 출판된 ‘특이점의 신화, 인공지능을 두려워해야 하는가’를 통해 “무어의 법칙은 경험을 공식화한 것에 불과”하다며 “블랙홀과 같은 특이점에 ...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2019.06.17
- 북한과 상황이 비슷한 개도국이 경제가 발전하는 시기에 이 모델을 적용하도록 수출도 가능할 것 같다. 북한에서 다양한 천연물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는 것도 활용할 수 있다. 최근 개발된 당뇨병치료제인 SGLT-2 억제제도 사과나무 껍질로부터 약리성분을 추출한 천연물 기반 약물이다. 북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슈퍼우먼, 결국 입을 다물다2019.06.15
- 불이 났다면 화재 경보기가 울리고 이를 통해 화재를 미리 진압하거나 도망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감정을 억누르면 마음 속 경보기가 고장나는 셈인 것이다. 다 타버리기 전까지는 자신이 어떤 상태인지 알 수도, 따라서 미리 대처할 수도 없는 상태가 되어버리는 것이다. 사는 건 원래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손가락 비율이 작을 때는 또 그 사람의 공격성이 높고 반면 클 때는 성격이 개방적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도 있다. 심지어 손가락 비율이 크면 미신을 믿는 성향이 강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예술가들은 손가락 비율 값이 보통 사람들 평균보다 작고 손가락 비율 값이 큰 아이들이 숫자에 비해 ... ...
- 학대 겪은 아이, 성인 돼서도 폭력에 희생된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일어나기 쉬운 환경을 알면 그 패턴을 알 수 있다"며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해 아동학대 가능성이 있는 환경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류정희 연구위원팀은 연구보고서를 통해 "아동폭력을 겪은 부모가 자녀에게 폭력을 가하거나, 어린시절 폭력 피해자가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동아사이언스 l2019.06.11
- 이렇게 의사들의 니즈가 파악되면 공학자들이 실제 로봇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지 가능성과 유효성을 검증해야 한다. 로봇의 역할에 따라 하는 일이 달라지므로 기계공학자뿐만 아니라 제어기술자, 의료영상기술자 등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의료로봇에 대한 필요를 ... ...
- 머스크의 꿈이 현실로… 1만2000개 위성 띄워 ‘우주 인터넷’ 시대 연다동아사이언스 l2019.06.10
- 등 무인이동체가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지구 어디에서든 연결이 가능한 촘촘한 인터넷이 필요한데 스타링크는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염 그룹장은 “또 전세계적으로 다음 세대의 이동통신인 6G가 어떤 형태일지 논의가 한창인데 후보 중 하나가 위성으로 ... ...
- 가공식품 살 때 AGEs주목해야…伊연구진 "식품알레르기 유발 확인"동아사이언스 l2019.06.08
- 카나니 교수는 "지금까지 가공 식품을 많이 먹는 어린이가 식품 알레르기를 겪을 가능성이 높다는 조사 결과는 많았지만 정확한 원인은 찾지 못했다"며 "이번에 확실한 증거를 잡은 만큼 전 세계 식품가공업체에서 AGEs 양을 줄이도록 권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좋은 일은 우연이고 나쁜 일은 내 탓인가2019.06.08
- 수도 없이 ‘곱씹기(rumination)’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영구적으로 반복 호출하는 것이 가능한 것처럼, 어떤 사건과 정서의 존재 자체 못지 않게 그에 대한 ‘반응’이 정신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달리 말하면 우리는 외부 세계의 자극을 있는 그대로 투명하게 내면화하기보다 각자의 ... ...
- 화이자 관절염 치료제 치매 예방 효과 은폐 의혹 두고 과학계 공방동아사이언스 l2019.06.07
- 지적에 대해서도 “이미 2010년, 2016년 등에 엔브렐이 알츠하이머 위험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850만 명의 환자 데이터를 분석한 논문을 통해 공개돼 있었다”며 “원하는 연구자는 누구나 엔브렐을 사서 임상시험을 할 수 있겠지만, 대규모 임상시험을 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한 만큼 어차피 연구비 ... ...
이전5465475485495505515525535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