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개는 죽어서 우정을 남긴다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뛰어난 후각을 이용해 오줌에 섞인 암 조직에서 나오는 휘발성 물질의 냄새를 구별하는
실험
결과를 ‘영국 의학저널’에 발표했다. 개들은 7개월 동안 훈련받아 평균 41%의 진단 성공률을 보였다.20개월 된 코커스패니얼 종인 파코(Paco)는 최초로 당뇨병 환자를 위해 훈련된 개다. 파코는 주인의 ... ...
2. 정자 없이 수정하는 난자 처녀생식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있다”고 설명했다.조사위는 또한 최종 보고서에서 직접 체세포를 이식했던 연구원이 “
실험
도중 극체가 난자 안으로 들어가 우연히 처녀생식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진술했다고 밝혔다.여성은 난소에 일정한 수의 난모세포를 갖고 태어난다. 난모세포는 자라는 동안 2번 분열해 극체 3개와 ... ...
술집에 간 남과 여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알코올을 암컷과 수컷 쥐에 주사한 뒤 엎드렸다 네 발로 벌떡 일어나는 시간을 측정했다.
실험
결과 암컷이 수컷보다 더 빨리 일어났다. 그러나 발정기가 시작돼 호르몬 수치가 가장 높이 올라간 암컷은 평소보다 일어나는 속도가 10%나 느려졌다.하버드대 의대 마리사 실버리 교수는 “여자들도 ... ...
험한 우주 다리가 된 레이저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지상 센터는 레이저신호를 서로 주고받았으며 아무런 정보를 담지는 않았지만 이번
실험
이 앞으로 행성간 레이저 통신의 가능성을 열어줬다”고 기대했다.현재 행성간 통신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한다. 마이크로파는 레이저처럼 파동이 집중되지 않고 시간이 지나갈수록 넓게 흩어진다. 이 때문에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시간이 흐르면서 이 미행성들이 어떻게 목성형 행성으로 커나가는지 컴퓨터 모의
실험
을 해보자. 초기에는 큰 미행성일수록 큰 중력으로 더 많은 물질을 주위에서 끌어들일 수 있어 급속도로 성장하는 반면, 작은 미행성은 상대적으로 크지 못하는 ‘빈익빈 부익부’ 현상이 나타난다.결국 태양계는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능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이론적이기는 하지만 일부 분자에서는
실험
으로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됐다.김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두 가지 반응 경로가 있는 화학반응에서 특정한 생성물만 선택적으로 고를 수 있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화학반응에서는 한 가지 이상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반도체에 심었다. 틀에 박힌 캔버스에서 벗어나 색다른 작업 방식을 보여준 그녀의
실험
은 반도체 기술과 만나면서 참신함을 더한다.ICU디지털미디어랩이 만든 ‘나노로봇’은 공기처럼 우리 주변에 퍼져있을 미래의 로봇을 잘 형상화하고 있다. 사람의 움직임과 소리에 반응하는 작은 로봇들을 ... ...
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또 이처럼 괴로워했나 보다.거짓과 욕심의 아귀다툼 속에서 이제는 돌아와 다시
실험
실에 선 내 누이같이 생긴 줄기세포여.언젠가 삶의 희망을 잃어버린 이들을 일으켜 세우려고 지금도 묵묵히 걷고 있는 줄기세포의 꿈을 다시 엿본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다시 꾸는 줄기세포의 꿈1.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규명해야 하고 생명윤리 문제도 중요한 과제다. 이런 것들이 섣부른 임상이나 동물
실험
이 아니라 수많은 논문과 임상을 통해 학계에서 검증돼야 재생의학의 문이 활짝 열릴 것이다.많은 과학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지만 황우석 파문은 당분간 한국의 줄기세포 연구에 먹구름이 될 것이다. 여러 ... ...
임신 기간을 조절하는 캥거루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사람보다 탁월하다.미국 플로리다주립대의 데브라 앤 파둘 박사는 쥐를 이용한
실험
에서‘Kv1.3’라는 유전자의 기능을 억제하면 냄새를 맡는 능력이 무려 1000배에서 1만배까지 증가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파둘 박사는“사람에게도 이 유전자가 있으므로 이를 억제하는 물질을 개발하면 후각 기능이 ... ...
이전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