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루살이의 진짜 수명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감지하는 능력을 소별시킨 뒤에 비둘기를 놓아주면 맑은 날에는 태양 나침반을 활용해
방향
을 찾지만 흐린 날에는 자기장 감각에 혼란이 생겨 집을 찾지 못하게 된다.비둘기는 일단 낯익은 장소에 돌아오면 한번 날아본 적이 있는 장소를 잘 기억하므로 기억을 더듬어 둥지로 찾아간다 ... ...
3. 멀티유저와 다중처리가 가능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보아 왔듯이 PC용 운영체제는 인간을 포함한 정보처리자원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향
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위에서 언급한 방안들 이외에도 다수의 PC를 선별하여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안, 입력 인터페이스의 강화(예를들어 펜 입력방식) 등이 시도되고 있으며 특히 다국어, 다국 문화에 ... ...
스웨덴 국제수학올림피아드를 다녀와서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각국의 수학교육방법 및 영재교육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을 뿐아니라 앞으로의 교육
방향
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참가학생들은 합숙기간중 흥미있는 놀이를 통해 세계의 친구들을 사귀고, 주최국에서 제공하는 관광을 함으로써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아마도 참가학생들은 교육적으로도 얻은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변환단층은 판이 생성되거나 소멸되는 곳이 아니고 단지 단층면을 경계로 판의 운동
방향
이 반대인 곳이다. 그 경계부는 지진은 발생하지만 화산활동은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변환단층의 대표적인 예가 미국의 산안드레아스단층으로 약 1천㎞나 어긋나 있다. 판게아 대륙의 여행판이동을 ... ...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모습을 한 사진 일곱 장을 찾아냈다. 이 모든 사진에서 불룩한
방향
은 항상 남북의 축
방향
이었다. 크리스티는 이것이 명왕성과 위성이 부분적으로 합쳐져서 생기는 영상일 것이라 여겼다.이렇게 발견된 명왕성의 위성은 신화에서 영혼을 심판하기 위해서 스타익스 강을 건너 플루토(Pluto)로 ... ...
정부출연 연구소 부처찾기 그 내막은?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떨어진 불임에는 틀림없다.'모방의 천재'로 알려진 일본도 자체 기술개발로 오래전에
방향
을 선회, 우리가 알고있는 것과는 달리 '창조도 하는 천재'의 대열에 올라섰다.다시 말해서 이 땅의 정부출연연구소에서 일하는 1만여 과학기술자들은 무엇보다 스스로의 노력으로 한국사회의 올바른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있는 무수한 입자로부터 궤도상의 에너지를 빼앗는다. 그 결과 입자들은 서서히 나사
방향
으로 토성을 향해 움직이면서 궁극적으로는 사라져버린다는 것이다. 돈스씨는 토성의 테가 사라지려면 약 1억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예측한다.두번째 현상은 테를 구성하는 입자들과 혜성들의 먼지 ... ...
임진강 유역에서 화산폭발?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중부의 특수지형의 일부를 이루는 곳이다. 추가령지구대란 서울과 원산을 북북동-남남서
방향
으로 잇는 계곡형태의 지형을 가리키는데, 임진강 유역의 지사와 구석기유적의 형성은 바로 이 추가령지구대의 발달과정과 밀접하게 관계된다. 추가령지구대의 정확한 형성원인과 과정은 아직 계속 ... ...
2.지자기의 힘이 떨어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중에서 적색사암과 석회암 등은 그 암석들이 생성된 장소에서 그 당시의 지구자장의
방향
을 영구자화(永久磁化)한 채로 지금까지 보존돼 있다.암석의 자화성질을 연구하는 학문을 암석자기학(岩石磁氣學)이라고 한다. 한편 고지자기학(古地磁氣學)은 암석에 기록된 먼 옛날의 지구자장의 변화를 ... ...
인간의 눈을 흉내낸 망막소자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세포군으로 구성돼 있어 정보가 세포군의 가운데서 수직
방향
(1층에서 2층)과 수평
방향
(같은 층 내의 인접세포)으로 흐르면서 전체적인 영상을 쉽게(?) 인식한다.그렇다면 이러한 다층구조를 가진 '실리콘망막'을 만들면 인간의 시각인식에 버금가는 새로운 소자를 탄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 ...
이전
546
547
548
549
550
551
552
553
5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