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독립
자립
자활
자율
정치적 독립
국가의 독립
자주빛
스페셜
"
자주
"(으)로 총 72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현실로 성큼 다가온 양자 네트워크
동아사이언스
l
2018.12.15
두고 서로 연결돼 있음을 연상케 하는 그림을 표지에 실었다. 양자의 특성을 표현할 때
자주
사용되는 뫼비우스띠를 이용해 양자 암호키를 통해 여러 사람이 네트워크로 연결된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 기존의 양자암호를 이용한 원격전송기술은 일대 일로 두 사용자간에 정보를 주고 받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반려동물과의 이별, 준비하셨나요
2018.12.08
머리 속에서 하얀 곰.. 하얀 곰… 자꾸 떠올리게 되듯 감정 또한 억누를수록 오래 가고 더
자주
튀어나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슬픔을 애써 늘릴 필요도 없지만 자연스럽게 나오는 슬픔을 억눌러서도 안 된다는 얘기다. 하고 싶은 장례나 기념 의식이 있다면 그 또한 후회가 남지 않게 마음껏 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8090가요다. 유튜브를 이용하게 된 뒤에는 당시 동영상까지 볼 수 있는 경우도 많아 더
자주
듣는다. 한 세대 전 노래들 가운데 오늘날 명곡으로 평가되는 작품들은 곡만큼이나 가사도 뛰어난 것 같다. 노래 ‘민들레 홀씨 되어’도 그런 예로, 노래를 들으며 가사를 음미하다 보면 ‘한 편의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③사회주의식 우주개발 벗어나 국제협력 나선 러 기업들
동아사이언스
l
2018.10.28
ISS)까지 우주인과 화물선을 실어 나르는 업무를 맡고 있어 국내 언론에도 이름이
자주
등장한다. 흐루니체프가 발사체 시스템 개발이 주 업무라면 에네르기아는 우주관련 사업과 각종 운영시스템 개발 등을 주로 맡고 있다. 마지막으로 첸키(TsENKI)를 들 수 있다. 러시아에서 개발 중인 각종 지상 ... ...
“엄마는 네안데르탈인, 아빠는 데니소바인” 게놈 연구 결과 첫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최소 두 번 있었던 것이다. 페보 소장은 “네안데르탈인과 데니소바인은 생각보다
자주
자손을 남겼다”며 “당시 인류 사이의 이종교배가 보편적이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약 4만 년 전 유라시아 지역에서 발견된 인류들. 파란색은 네안데르탈인, 빨간색은 데니소바인, 노란색은 ... ...
[지구를 위한 과학] 제비 몰러 나간다~! 정다미 연구원이 꿈꾸는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8.17
붙여 제비가 사는 것처럼 만든 후, 카메라를 설치했지요. 사진을 분석한 결과, 고양이가
자주
보였답니다.” 제비 덕을 톡톡히 봤죠! 올해는 파주 지역에서 제비가 사는 가옥을 300곳 이상 돌아다니며 설문 조사를 했다고 한다. 주민분들에게 제비의 포식자인 고양이가 얼마나 드나드는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리의 몸은 조금도 잘못되지 않았다
2018.07.28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평소에도 살이나 자신의 몸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더
자주
하는 경향을 보인다. 슬픈 현실은 맛있는 걸 먹었을 뿐인데 부끄러움에 몸을 떨고 나쁜 말로 자신에게 벌을 내리는 사람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는 것. 정말 내 몸이 문제였을까? 나 역시 오래동안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빠져 있다”고 진단했다. 이런 맥락에서 수년 전 혜성처럼 나타나 지금도 TV에서
자주
얼굴을 볼 수 있는 요리연구가이자 미식가인 백종원 씨야말로 현대인들이 직면한 잡식동물의 딜레마를 ‘슬기롭게(sapiens)’ 헤쳐나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는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필자는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
2018.07.07
행복한 사람과 내향적이고 행복한 사람을 비교했다. 그 결과 친한 친구들을 얼마나
자주
만나는지, 친구들에게 고민 상담을 하는지 여부에서는 외향적인 사람들이 살짝 더 높은 점수를 보였지만 차이는 크지 않았다. 내항적이면서 행복한 사람들은 외향적인 사람들 못지 않게 친밀한 인간관계를 잘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국, 日-中 빠진 '우리만의 리그'에서 아시아 과학 허브 한자리 차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7.01
사이언스 등 영미권의 주류 과학잡지는 이렇게 특정 지역의 과학을 소개하는 기획을
자주
한다. 그 때마다 ‘아프리카의 과학’ ‘남미의 과학’ 등이 특집기사가 되고 현지의 과학 정책과 과학자가 등장한다. 다른 나라의 과학 사정에 밝지 않은 구독자에게 “이 나라에도 (나름의) 과학이 있다”고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