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스페셜
"
우리나라
"(으)로 총 1,08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섹스와 젠더의 과학
2017.08.29
‘천재들의 학문’에서는 여전히 남성의 비율이 꽤 높다. 글을 보니 이런 현상은
우리나라
뿐 아니라 미국도 마찬가지다. 흥미롭게도 저자 두 사람 가운데 여학생이 70%가 넘는 심리학과의 교수인 심피언은 남성이고 30% 수준인 철학과의 교수인 레슬리는 여성이다. 두 사람은 수년 전 한 학회에서 만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을 분해하는 애벌레가 있다고?
2017.08.15
아직 분해 메커니즘은 규명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아무튼 이 연구결과가 보도되자
우리나라
에서도 큰 화제가 됐다. 추가 연구가 진행해 관련 효소를 찾으면 폴리에틸렌도 생분해 플라스틱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4월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에는 폴리에틸렌 플라스틱필름을 먹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생쥐의 앞발이 손이 되지 못한 사연
2017.08.01
전 신문에서 바이올리니스트 신지아 씨의 인터뷰 기사를 봤다.
우리나라
바이올리니스트라면 정경화, 장영주(사라 장)만 떠올리는 수준인 필자는 기사를 읽고 궁금해져 연주를 한번 들어보려고 유튜브를 검색했다. 신지아-손열음(피아노) 듀엣의 연주 동영상이 여럿 나왔고 한 편을 보자 강주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창가를 따라 트랙을 깔아 달리기까지 할 수 있게 해 놓았다. 이영표 선수가 직접 달리며
우리나라
에도 이런 시설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모습을 보니 정말 부러웠다. 평소 앞산 산책 정도의 운동을 하는 필자는 찜통 더위로 녹초가 되는 칠팔월에는 이마저도 안 하는 ‘운동 휴식기’를 보내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너지, 당분간은 천연가스에 기대야 할까...
2017.07.11
엘론 머스크는 로켓재활용이라는 꿈같은 아이디어를 실현해 세상을 놀라게 했다.
우리나라
의 탈석탄 탈원전 꿈이 현실이 되느냐 여부는 결국 엘론 머스크나 로드니 알램 같은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을 천재가 나타나느냐에 달려있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무로 지은 아파트에서 사는 시대 올까?
2017.05.30
쓴다면 더 의미가 있을 것이다) 비록 숲은 파괴했지만 그래도 친환경 건축물의 효시로
우리나라
건축사에 남지 않았을까 하는 부질없는 생각을 해본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면역계가 우리 몸을 낯설게 느낄 때 일어나는 일들
2017.05.24
자가면역질환인 크론병이 포함돼 있다) 환자수가 수십 년 사이 30배가 됐다.
우리나라
통계는 찾지 못했지만 이런 추세의 예외는 아닐 것이다. 필자 주변을 봐도 갑상샘저하증(가장 흔한 하시모토갑상샘염이 자가면역질환이다)이나 갑상샘항진증(역시 가장 흔한 그레이브스씨병이 자가면역질환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유교)을 국가이념으로 받아들이면서 여성의 지위가 급격히 추락했다는 내용이다. 요즘
우리나라
를 헬조선이라고 부른다지만 조선왕조 500년이야말로 여성들에게 진정한 ‘헬조선’이 아니었을까. 그런데 유교의 시조인 공자의 언행을 수록한 ‘논어’를 보면 남녀차별적인 발언은 거의 나오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암 정복한다는 신약, 세상에 나오지 못 하는 이유
2017.05.10
해결할 수 있는 범위 밖에 있는 게 현실이다. 대학정원을 크게 늘린 것이 오늘날
우리나라
청년실업문제를 초래한 구조적인 문제임에도 누구하나 손을 대지 못하는 것과 비슷한 맥락 아닐까. 지난 2013년 타계한 영국의 생화학자 프레더릭 생어는 노벨상을 두 번이나 탄 인물이다. 인슐린 단백질의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⑦ 할머니, 할아버지의 날은 왜 없을까
2017.05.07
심각해지죠. 현재는 7% 이상의 아이들이 할머니나 할아버지의 품에서 자란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의 사정도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1995년 엄밀한 의미의 조손 가정, 즉 부모 없이 할머니나 할아버지와 같이 사는 가정의 비율은 겨우 0.1%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2014년 기준으로 조손 가정의 비율은 0.7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