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스페셜
"
연구진
"(으)로 총 1,272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버드대의 코로나 전략, 핵심은 '변이에 앞서는 대응'
연합뉴스
l
2021.03.18
분자 사이의 미세한 균형이 잘 맞는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의 듀크-누스(Duke-NUS) 의대
연구진
은 최근 '실험의학저널'에 이런 요지의 논문을 발표했다. [듀크-누스 저널 'JEM' 논문 캡처 / 재판매 및 DB 금지] 이 환자에게서 분리한 신종 코로나는 이미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에 여러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를 전파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홍콩
연구진
은 코로나19 감염 반려인과 살고 있는 고양이 17마리와 개 15마리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고양이 1마리와 개 2마리에서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이라고 볼 수 있는 항체면역반응을 확인했다. ... ...
파우치 "CDC, 특정조건서 1m 거리두기 가능성 연구중"
연합뉴스
l
2021.03.15
확인한다면 기존 방역 지침을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보스턴의 한 의료센터
연구진
이 대면 수업을 진행한 학교에서 6피트(약 2m) 거리두기와 3피트 거리 두기 간 코로나19 감염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고 분석한 연구 결과의 평가를 묻는 말에 대한 대답이었다. 이 의료센터는 16주간 대면 ... ...
코로나 확산예측 TF보고서 "이달 말에도 하루 확진자 400~500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13
정은옥 건국대 교수, 정일효 부산대 교수, 황형주 포스텍 교수 등 9개
연구진
이 참여하고 있다. 코로나19의 감염력 변화와 방역 정책의 감염 억제 효과를 추정하기 위하여 감염재생산 지수(R)의 정확한 계산은 반드시 필요하다. 감염재생산지수는 1명의 환자가 몇 명을 감염시키는지를 보여주는 ... ...
[표지로 읽는 과학]북극서 번식한 ‘팰컨’이 월동지를 찾아가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1.03.13
연구진
은 송골매가 이동 경로를 본능적으로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준다고 결론내렸다.
연구진
은 “지구 온난화는 철새들의 이주 전략에 영향을 미치고 북극과 유라시아 지역의 팰컨 개체군의 번식지를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며 “생태학적 상호작용과 진화 과정을 활용해 기후 변화에 따른 ... ...
한국 첫 소행성 탐사 타깃 ‘아포피스’ 지구 근방서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탐사선에 필요한 연료 소모가 적어 소행성 탐사에 좋은 조건이 만들어진다. 천문연
연구진
들은 아포피스 관측을 위해 전세계 30여개가 넘는 천문대와 함께 국제 공동 관측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추적 및 특성 분석 연구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아포피스의 회전 상태를 규명하고 형상 모형을 ... ...
"영국 변이 바이러스, 치사율 최대 두 배"
연합뉴스
l
2021.03.11
다른 변이 바이러스는 규모 모집단에서 사망자가 141명이었다는 연구 결과를 실었다.
연구진
은 영국 변이 바이러스의 치사율이 다른 변이에 비해 30∼100% 높다고 분석했다. [권도윤 제작] 일러스트 엑시터대가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연구를 공동 주도한 엑시터대 연구자 로버트 챌런은 ... ...
"접종속도 높이기 위해 접종간격 늘이면 변이 바이러스에 확산 기회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방향으로 변이가 나타날 가능성이 커진다”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9일 밝혔다.
연구진
은 "백신을 한 번만 맞아 면역반응이 강할 경우 단기적으로 감염이 감소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이런 가능성을 높이며, 1회 접종에 약한 면역반응이 일어날 경우 가능성은 더 커진다”고 덧붙였다. 현재 ... ...
인류 최초의 mRNA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첫 대규모 안전성 분석결과 "이상반응은 2%"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항생제 투여에서 나타나는 아나필락시스 반응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라고 밝혔다.
연구진
은 아나필락시스 반응 발생률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추정치보다는 높다고 밝혔다. CDC의 추정치는 접종 1만회당 0.025~0.11이다. 하지만 여전히 아나필락시스 반응 발생률은 매우 낮은 수치라는 ... ...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방법이 쓰였지만, 시간이 오래 걸리고 분석 과정에서 육류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
은 소고기가 신선할 때는 미오글로빈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산소와 결합해 붉은색을 띠고, 상했을 때는 미오글로빈의 함량이 달라져 색이 옅어진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그리고 소고기에 분광기를 쪼여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