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낭세포
배낭
베낭
세포단체
단체
원형질체 단위
cell
스페셜
"
세포
"(으)로 총 1,94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초로 긴급 승인된 印 코로나19 DNA 백신...주삿바늘 없애고 효능 66.6%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임상 2, 3상 계획을 승인 받았다. GX-19N은 변이 바이러스에도 효능을 유지하기 위해 T
세포
반응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진원생명과학이 개발한 GLS-5310은 지난달 임상 1상을 마치고 현재 2상에 돌입했다. GLS-5310는 다른 백신과 달리 스파이크단백질 외에도 다른 항원을 하나 더 표적으로 삼아 예방 ... ...
코로나19 유행이 영유아 지능 발달 방해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4
이대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인지능력은 뇌의 크기나 무게가 커지는 것보다 신경
세포
끼리의 연결 즉, 연결 신경망이 많이 발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만 3세에는 신경망 발달이 최고조에 이르며 만 5세 이전에 신경망의 약 90%가 완성된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그래서 3세 이하 영유아들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감자 많이 먹으면 지구가 건강해진다
2021.08.24
일종의 복제본이므로 매년 같은 특성의 감자를 수확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체
세포
돌연변이가 축적되면서 이형접합성이 갈수록 커져 현대 육종학자들조차 씨앗으로 재배할 수 있는 감자 육종에 번번이 실패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 게놈 디자인으로 잡종 감자 얻어 국제학술지 ... ...
[영상+]뇌
세포
에 침투해 난동 부리는 코로나19 바이러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박쥐의 뇌
세포
로 감염되는 순간. 붉은 반점이 코로나19 코로나바이러스로 박쥐의 뇌
세포
(회식 덩어리) 사이를 파고들며 증식한다.니콘 스몰월드 2021 제공 ... ...
34년전 프레온가스 퇴출 결정이 기후변화 대응시간 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3
닿는 것을 막는다. 식물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유해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면 단백질과
세포
의 DNA가 손상돼 성장이 멈추고 생명을 잃는다. 식물들은 광합성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식물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생산한다. 오존층이 유지돼야 식물들이 잘 자라고 대기 중 ... ...
[표지로 읽는 과학] 폐경 늦추는 유전자 변이
동아사이언스
l
2021.08.21
파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게 ‘CHEK2’ 유전자다. 이 유전자는 손상된 난모
세포
가 스스로 체내에서 파괴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생쥐를 대상으로 CHEK2 유전자가 제기능을 하지 않도록 한 실험 결과 나이가 들어도 난자가 파괴되는 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확인했다. CHEK2 유전자가 ... ...
람다 변이는 '제2의 델타 변이' 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8.19
따르면 람다 변이의 스파이크 단백질에 발생한 돌연변이(L452R/Q)는 바이러스가 숙주
세포
에 더 잘 들러붙게 만들고 이를 통해 감염력을 높인다. 또 화이자와 모더나의 mRNA 백신과 존슨앤드존슨의 자회사 얀센의 백신 등 코로나19 백신 3종으로 생성된 항체에 대한 람다 변이의 영향을 조사한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방사능의 발견
2021.08.19
내는 방사성 물질이 몸 속으로 들어온다면 사정이 달라진다. 방사선의 내폭에 따른
세포
손상 위험도 항상 염두에 둬야 한다. 서로 다른 종류의 방사선이 존재함을 확인하고 알파, 베타, 감마라는 이름을 붙인 과학자는 러더퍼드였다. 그는 뉴질랜드 출신의 물리학자로서 장학금을 받고 영국 ... ...
코로나 비말 감염 '폐 손상', 접촉 감염보다 훨씬 심하다
연합뉴스
l
2021.08.18
표면 접촉을 통해서도 감염됐다. 신종 코로나(녹색)에 감염된 애팝토시스(자멸사)
세포
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 [미국 NIAID(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NIH(국립 보건원) 제공 / 재판매 및 DB 금지] 비말 감염에선 특히 공기의 흐름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했다. 감염 개체(햄스터)로부터 비 감염 ... ...
[랩큐멘터리]가장 완벽한 화합물 공장,
세포
로 새 물질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18
같은 세상을 바꾼 화학물질을 새로 발굴하고 빠르고 정확하게 만들어 내는 데 쓰일
세포
들은 이미 실험실에서 꿈을 키우고 있다. ▼포스텍 화학생물학연구실 보기 ※대학 연구실은 인류의 미래에 어떤 일들이 펼쳐질지 엿볼 수 있는 창문입니다. 인류 지식의 지평을 넓히는 연구부터 실제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