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계
천하
천지
세태
사회
지구
인류
스페셜
"
세상
"(으)로 총 939건 검색되었습니다.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환자를 진짜 죽이는 것은 차별
2020.02.15
거부했고 병이 다 나은 다음에도 노골적으로 자신을 피했다고 진술했다. 마치 자신이 “
세상
에서 가장 더러운 사람”이 된 것 같은 기분이었다고 언급했다. 친했던 동료에게 전화를 해서 어디냐고 물었더니 자신의 집 근처를 지나가는 것이 뻔히 보였는데도 아직 회사라고 거짓말을 한 일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급진적 변화를 위해
2020.02.13
컨소시엄들 간의 대립, https://www.enago.co.kr/academy/move-boycott-elsevier-journals-deal-near-dead/ -[공감
세상
] 사이비 학문과 공정위, 김우재,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89219.html - 오픈액세스 학술출판 동향과 추진 방안 https://www.kisti.re.kr/promote/post/researchreport/4326?cPage=2&t=1568178673327# -머튼의 규범에 관해선 ... ...
[사이언스N사피엔스]과학혁명의 배경
2020.02.06
부흥하기도 하는데 이 또한 아리스토텔레스 체제에 대한 반발이었고 수학적 질서로
세상
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주요한 흐름이었다. 지금 우리가 과학하면 떠올리는 가장 대표적인 이미지는 실험과 수학이다. 베이컨과 데카르트는 이 두 심상에 대한 원조 격에 해당하는 인물이라고 할 수 있다. ... ...
[이덕환의 과학
세상
] ‘서양 은’으로 둔갑한 알루미늄
2020.02.05
한 남자가 고열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끓인 양은냄비의 라면을 옮겨 담고 있다. 연합뉴스 제공 "도대체 ‘양은’(洋銀)이 뭡니까?" 어느 중진 과학기자가 던진 질문이다. 양은 ...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
세상
》이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픈 자, 죽는 자, 멀쩡한 자
2020.02.04
제약이 많아 생쥐 같은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많은
세상
일이 그렇지만 병원체와의 관계도 ‘운칠기삼(運七技三)’의 영역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홍역바이러스나 천연두바이러스, 소아마비바이러스에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유전형을 지닌 사람은 오래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인간의 뇌에서 또 한 번 AI원리 발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01
하나인 ‘분포강화학습’을 동물의 뇌도 쓴다는 사실을 얼아냈다. 분포강화학습은 실제
세상
은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 많아 보상이 다양하다는 것에 착안한 알고리즘이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구덩이를 뛰어넘는다고 하면 성공할 확률도 있다. 갑자기 바람이 불어 넘지 못하고 떨어질 수도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
2020.02.01
확산을 막기 위해 구성된 의료진들의 모습이다. 신화/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세상
이 시끌시끌하다. 하지만 처음 겪는 일도 아니다. 인류의 역사는 주기적인 바이러스 유행으로 점철되어 있다. 정착 생활을 시작하면서 일어난 일이다. 처음 신석기 혁명이 일어난 무렵 세계 인구는 약 400만 ... ...
[사이언스N사피엔스]"천체의 움직임은 계산할 수 있어도 인간 광기는 계산할 수 없다"
2020.01.23
대부분은 크든 작든 주식투자에서 손해를 봤다고 실토했다. 물리학자들은 대체로
세상
만사에 아는 체 하길 좋아하지만 실상은 ‘허당’인 경우가 많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미국의 유명한 수자인 제임스 사이먼스는 이론 물리학에서도 큰 업적을 남긴 분인데 1982년 르네상스 ... ...
[영상+]퀸의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를 37년간 매료시킨 천문학 연구 '황도광'
동아사이언스
l
2020.01.18
노력에 대한 찬사를 담고 있다”고 말했다. 메이는 지난 2016년 9월 프레디 머큐리가
세상
을 떠난 1991년 발견된 ‘소행성 17473’의 이름을 ‘소행성 17473 프레디 머큐리’로 변경하는 역할도 주도했다. 국제천문연맹(IAU)에 변경을 요청했고 IAU는 이를 받아들였다. 메이는 2008년부터 2013년 영국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물질도 서로 영향을 주며 진화했다는 것이다. 자연은 몸에도 좋다는 것이다. 사실
세상
에 자연이 아닌 곳이 없다. 도시도 자연이고, 스테인리스 철판과 플라스틱 그릇도 다 자연에서 온 것이다. 우라늄도 자연에서 캔 것이다. 하지만 원시의 인류가 살던 통상적인 생태 환경을 ‘자연’이라고 좁게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