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남성"(으)로 총 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치료제 나올까?2018.05.01
- 쓰다듬어주다 물린 40대 여성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했고 자신의 반려견에게 감염된 남성도 나왔다. 숲에 들어가지 않는다고 SFTS바이러스로부터 안전한 건 아니라는 말이다. 아직 백신도 없고 치료제도 없는 상황에서 SFTS환자가 대규모로 발생한다면 심각한 상황이 전개될 것이다. 그런데 기사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개인의 노력을 탓하는 이유2018.04.28
- 사회일수록 ‘남성이 더 높은 사회적 지위를 갖는 것이 당연하다’는 믿음을 갖는 것이 남성과 여성 모두의 행복과 긍정적 상관을 보였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바꾸기 힘든 구조적 불평등을 직시하는 것보다 '원래 그런 것'이라고 순응하는 것이 일단 속은 더 편할 수 있다는 것이다(Napier,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친밀한 관계에서의 폭력이란?2018.03.31
- 자의적이라는 점이다. ‘나 말고 다른 남자는 생각도 하지마’라는 요구를 하면서 남성 택배기사나 경비원에게 인사라도 하면 꼬리친 거라고 주장하며 집을 부순다던지, ‘나를 화나게 하지마’라는 요구를 하면서 작은 것에도 일일이 화를 내는 등이 한 가지 예다. 마치 피해자가 행동을 잘 하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보인다는 연구가 있었다 (Murphy & Coleman, 1986). 합의하에 하는 성관계 장면에는 일반인 남성들과 비슷한 수준의 흥분도를 보였다. 몰카의 소비를 허용하는 문화 역시 예비 성범죄자들을 양산하는 훌륭한 토양이 될 것으로 보안다. 미디어에서 피해자를 비난하고 가해자를 옹호하는 듯한 컨텐츠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 집안의 가계도로 회색이 공감각 소유자, 흰색이 비소유자이고 동그라미가 여성, 네모가 남성이다. 파란색 테두리선이 게놈을 해독한 사람이다. 아래는 소리-색 공감각을 확인하는 테스트로, 공감각자는 세 차례에 걸친 검사에서 특정 높이의 음에 거의 같은 색을 대응시킨 반면(왼쪽) 비공감각자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정말 한 순간의 잘못일까?2018.03.10
- 도발하지 않았더라면 괜찮았을 것, 여성이 너무 비싸게 굴면 안 되고 별 볼 일 없는 남성들도 얼마든지 여성을 가질(?) 수 있어야 한다는 등의 이야기들은 주변에서 흔히 만나볼 수 있다. 한가지 더, 요즘 성폭력 사건들과 관련해서 ‘저 사람은 그럴 사람이 아니다’라는 이야기가 자주 보인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미투의 외침 나오는 이유? 성폭력 권하는 사회 2018.03.03
- 행동력의 문제 또한 중요한 원인으로 제기됐다. 특히 성폭력을 저지를 가능성이 있는 남성이 성폭력에 관대한 환경을 만나면 그렇지 않았을 때에 비해 성폭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성폭력은 이를 용인하는 사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저지방 식단 권장, 설탕 업계 음모?2018.02.20
- 마크 헤그스테드(Mark Hegsted)가 이끄는 연구자들은 댄버스주립병원의 정신병동에 입원한 남성 조현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식단을 제공하며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헤그스테드는 ‘데이터로 말하는 과학자’로 명성이 자자했다. 미국 제당업계의 꼭두각시로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의 계란’을 한 바구니에 담지 마라 2018.01.20
- 외향적인), 역할(엄마/아빠, 학생/회사원), 신체적 특성(얼굴이 길쭉한), 소속 집단 (여성/남성, 한국인, 동양인), 능력(손재주가 좋거나 계산 능력이 좋거나), 선호(체식주의자, 자연주의 등), 목표(ㅁㅁ가 되고/하고 싶은), 기억(2007년 여름), 관계(ㅁㅁ의 친구) 등이 흔히 관찰된다고 한다. 여러분의 자기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사피엔스, 퇴행은 이미 시작되었나?2017.12.12
-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고 비만율(BMI 25 이상)도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 특히 30대와 40대 남성의 경우 흡연율은 각각 46.3, 46.5%로 2위와 1위를 차지했고 비만율은 각각 46, 44.8%로 1위와 2위에 올랐다. 리뷰논문에서 연구자들은 인류의 건강과 수명과 관련해 지나치게 낙관적인 견해를 보이는 과학자들을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