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세
지리
땅모양
지리학
자모
모형
풍수지리
뉴스
"
지형
"(으)로 총 661건 검색되었습니다.
北 광물지도 살펴보니… 희토류, 금, 철까지 가득
2016.06.17
2위인 평안북도 의주군 덕현노동지구의 40배에 이르렀다. 철 함량이 높은 ‘퇴적변성암’
지형
덕분이다. 비철금속은 양강도부터 이어지는 함경남도 북부에 많다. 동은 양강도 혜산시 인근에 분포하는 ‘관계화성암’이란 광물에서 주로 난다. 상농, 운흥 등의 광상이 잠재성이 높게 나왔다. ... ...
수십 ㎞ 붉은 무늬 또렷… 시시각각 얼굴 바꾸는 ‘명왕성’
2016.06.05
분석을 내왔다. 알렉산더 트로우브릿지 미국 퍼듀대 교수팀은 대류모델을 통해 명왕성
지형
의 비밀을 설명했다. 질소 얼음이 지속적으로 대류하며 수백만 년 지난 결과 그 두께가 수㎞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했다. 뉴호라이즌스호의 탐사 결과 불안정한 질소 층의 활발한 대류의 흔적을 ... ...
사용후핵연료 처분 실험 지하 120m 동굴 ‘KURT’를 아시나요
2016.06.03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지난달 25일 처음 시운전을 시작했다는 연구진은 화강암
지형
인 국내에서는 500m 깊이면 고준위 폐기물을 안전하게 처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난달 26일 정부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2028년까지 사용후핵연료 영구 처분을 ... ...
[조성하 전문기자의 休]차창 너머 사자-코끼리… 자연의 법칙이 지배하는 땅
동아일보
l
2016.05.28
에토샤 팬 드디어 에토샤 국립공원의 랜드마크인 에토샤 팬에 들어섰다. 팬은 쑥 꺼진
지형
인데 이곳은 1억 년쯤 전에 형성된 호수. 아주 오래전에 물길이 끊기고 있던 물조차 모두 증발해 지금은 사막 형상이다. 곤드와나(5억5000만 년 전 지구를 구성한 초대륙 중 하나)에서 떨어져 나온 ... ...
제로백 6초 후반…‘2.0 터보 모델’ 상식을 깨다
동아일보
l
2016.05.16
33mm 길어진 ‘2열 레그룸’도 장점 美 ‘NHTSA 안전성평가’ 최고 등급 국산 중형차 시장의
지형
도가 바뀌고 있다. 지난 4월 27일 출시된 쉐보레 ‘올 뉴 말리부’는 8일(영업일 기준)만에 1만대 계약을 돌파하며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원동력은 상품성의 획기적인 혁신이다. 실내외 디자인, 차체 크기, ... ...
[토요판 커버스토리]수제맥주의 역사… 알고 마시면 더 맛있다
동아일보
l
2016.05.14
유럽의 지역 양조장에서 만들어 낸 맥주는 에일형 맥주였다. 그런데 1979년이 되자 맥주의
지형
도가 바뀌게 됐다. 지미 카터 전 미국 대통령이 지역 양조업체 활성화를 위해 홈브루잉으로 생산한 맥주를 판매하는 것을 허용하면서부터다. 실험 정신이 강한 젊은이들이 유럽에서 오랜 기간 사랑받아온 ... ...
해저 지도를 만드는 드론이 나타났다!
수학동아
l
2016.05.13
작업을 수중에서 한 것과 마찬가지”라며, “3차원 프린터로 찍어낸 사실적인 실사
지형
도로 정확한 수중 환경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 ...
속 캐릭터 츄바카를 닮은 신종 바구미
2016.05.07
왼쪽) - 월트디즈니 스튜디오 코리아 제공 한편 연구진은 뉴브리튼 섬의 크기와 산악
지형
인 점, 그리고 그곳의 열대 식물을 감안할 때, 트리고놉테루스는 그 섬에서 일부 지역적인 종분화* 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이 가능성은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 ...
5900t급 이사부 호, 취항 준비 이상 무
과학동아
l
2016.05.04
윈치(로프를 감는 기계)에 감긴 로프는 그 길이가 1만m가 넘었다. 센서가 관측한 해저
지형
. - KIOST 제공 ● 육지와 실시간 통신하는 배 첫 눈에 드러나진 않지만 이사부 호의 또 다른 장점은 섬세한 센서였다. 일단 배의 진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소음과 진동이 적고 변속이 부드러운 전기모터를 ... ...
‘발틱해 우주선 ’ 다시 주목 받아
팝뉴스
l
2016.04.27
수천 년 또는 수만 년 전에 침몰한 우주선일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해왔다. 또 자연
지형
물이라는 주장에서 침몰한 선박이라는 추정까지 다양한 의견이 있다. 발견 당시 다이버들은 이 물체에 접근하자 위성 전화 등 전자기기가 작동을 멈췄다고 말한다. 물체로부터 200미터 정도 벗어나면 모든 기기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