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트
거룻배
소형 보우트
뉴스
"
작은 배
"(으)로 총 1,324건 검색되었습니다.
[주말N수학]"자산관리하는 AI비서, 확률·통계로만 최고의 수익 내요"
수학동아
l
2020.02.22
건지 구분하기 어려울 정도로 수학을 많이
배
웠습니다. 4학년이 돼서 비로소 공학은 ‘수학을 ... 분야에 뛰어든다면, 다른 사람보다 훨씬 빠르게
배
울 수 있을 겁니다. 블루바이저는 ‘금융 ... 유기적인 시스템 속에서 함께 일합니다.
작은
부품 하나를 만들 때도 부품개발업체와 함께 일하고, ... ...
줄기세포 운반하는 '초소형로봇' 망가진 무릎 고쳤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6
개발한 초소형 로봇 '스템셀 네비게이터'가
작은
병 속에 담겨 떠다니는 모습이다. 연구팀은 최근 이 로봇을 활용해 토끼의 ... 나타내는 콜라겐2 단백질이 로봇을 주입하지 않은 손상된 연골에 비해 1.5
배
늘어났다. 반면 자기장을 가해 로봇을 상처 부위에 직접 보낸 다음 측정한 결과에서는 콜라겐2 ... ...
눈사람 모양 소행성 '아로코스' 두 소행성 뭉치며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2.15
이번 자료는 그 이후 뉴호라이즌스호가 지속적으로 보내온 10
배
많은 자료를 토대로 이뤄졌다. 윌리엄 맥키논 워싱턴대 지구 및 ... 행성 충돌의 최고 속도를 시속 15㎞ 이하로 추산했다. 이는 행성은
작은
천체들이 고속 충돌해 합쳐지며 형성한다는 행성 이론인 ‘강착 이론’과 대비되는 ... ...
[프리미엄리포트]19일 우주로 향하는 '천리안2B호‘
과학동아
l
2020.02.15
상공 3만6000km에 있는 정지궤도위성은 거리상 60
배
지구에서 더 멀리 있다. 즉 지구에서 반사돼 ... 완성했다. 해양탑재체┃공간해상도 4
배
↑, 실시간 해양 재난 감시 해류의 순환이나 ... 고개를 틀며 위성에 진동이 생긴다. 굉장히
작은
진동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고도의 정밀도가 필요한 ... ...
"3시간 뒤에 우리 동네 비올까?" AI 예보관에게 물어보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2.10
예상하는 일은 난제나 다름없다. 최근에는 인류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
출로 기후변화가 일어나면서 극단적인 추위나 태풍, 폭우 등 극한의 기상 ... 미치는 영향을 AI를 이용해 예측하고 있다. 구글은 동(洞) 단위보다
작은
가로세로 각 1km인 국지 기상 현상을 최대 3시간 전에 정확히 예측하는 AI ... ...
[프리미엄 리포트]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2.08
머리카락 한 가닥 두께보다 5만
배
이상
작은
퀀텀닷(quantum dot) 기술을 처음 적용해 선명한 색상을 만들어 기존 TV보다 2
배
이상 밝다.”(BBC, 2015년 1월 6일) 2015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 전 세계 최신 전자제품이 한자리에 모이는 세계 최대 전자 정보통신기술(ICT) 쇼인 ‘CES 2015’에 기존에 없던 TV가 ... ...
[팩트체크]곡물로 만든 고기는 진짜 고기 맛날까
과학동아
l
2020.01.25
리어나도 디캐프리오 등 유명 할리우드
배
우들이 투자해 주목을 받았습니다. 채식 열풍이 ... 국내 기술로 출시됐습니다. 줄기세포
배
양육은 여전히 연구 단계여서 아직 상용화되지 ... 과학동아DB 일단 대체육류의 맛이 궁금해서
작은
시식회를 열었습니다. 과학동아 기자와 디자이너 등 ... ...
빛 색깔 바꾸는 '제3의 방법' 증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대한 실험적 증거를 찾기 위해 머리카락보다 백
배
가느다란 나노실린더에 적외선 영역의 빛을 ... 기존 나노구조체 대비 빛의 파장변환 효율을 100
배
이상 높이는데 성공했다. 붉은 빛의 적외선이 ... 말했다. 박 교수는 “비선형 광소자와 레이저는
작은
공간안에 빛을 가둔다는 측면에서 동일한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사실을 암시한다. 현재 10m 이상 깊이에 사는 백합조개를 잡으려면
작은
배
를 이용해 낚시를 하거나 스쿠버 다이버가 잠수를 해야 한다. 연구진은 “네안데르탈인들은 2~4m 깊이에서 조개를 채집했을 가능성이 크다”며 “물론 스쿠버 장비는 없었다”고 말했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 ...
세포 움직임까지 느끼는 3D 촉각 인식장치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집적회로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의 반도체다. 연구진이 개발한 트랜지스터 센서는 센서 간 간섭없이 조밀한
배
열이 가능하다. 촉각을 고해상도로 ... 사람 머리카락 단면(약 0.4㎟)보다
작은
면적에 가로 20줄, 세로 20줄의 정사각형 형태로 총 400개의 센서를
배
열해 3D 촉각 인식장치를 개발하고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