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61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연구진, 중간질량 블랙홀 탐색해 블랙홀 생성 기원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7.03
우주에는 많은 수의 중간질량 블랙홀들이 더 존재할 것으로 예측됐다. 연구팀은 질량이
작은
왜소은하들의 절반 가량이 중간질량 블랙홀을 포함하고 있을 것으로 예측했다. 선행 연구들은 주로 태양질량의 백만 배에서 백억 배 사이의 질량을 가지며 무거운 은하들의 중심에 존재하는 거대질량 ... ...
7월부터 내비게이션이 '홍수경보' 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등 6개다. 매년 여름철 홍수가 찾아오는 시기에 도로 침수로 인한 크고
작은
국민 피해가 반복되고 있다. 특히 집중호우와 강 범람으로 인해 도로와 지하차도가 급작스럽게 침수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사고 예방을 위해서 차량 내 운전자가 홍수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것이 ... ...
부식·누수 없는 스프링클러 배관 연결 기술 개발…"화재예방에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4.07.02
포장하고, 현장에서는 단순 조립시공만 하면 돼 기존 배관보다 편리하다. 또 직경이 더
작은
배관으로 연결할 때 필요한 부품인 레듀서(Reducer)가 일체형으로 제작돼 용접·나사 방식 대비 조립 연결부가 단순하다. 아파트 세대 천장 스프링클러 조립에서는 기존 방식보다 작업시간이 50%까지 단축됐다. ... ...
작은
간 이식해 몸속에서 키웠다…간 이식 수술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27
생체 기증자 없이 뇌사자 간 이식만을 기다리던 중증 간질환 환자들에게 생체 기증자의
작은
좌측 간을 활용해 완치까지 바라볼 수 있다는 새 희망을 제시했다”며 “기증자 안전성이 확보된 수술로 수혜자와 함께 치료 후 삶의 질이 보장되어 더 많은 환자들이 완치될 수 있는 선택지가 되길 ... ...
쉬지 않고 아프리카서 남미까지 4184km 이동한 나비
동아사이언스
l
2024.06.26
부는 바람이 이들의 이동을 도왔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탈라베라 연구원은 5~8일간
작은
멋쟁이나비가 대서양을 건너 쉬지 않고 약 4814km를 이동했다는 결론을 내렸다. 곤충의 이동을 분석하는 연구는 생태학, 질병학적으로 의미가 있다. 곤충은 꽃가루, 곰팡이, 심지어 식물 질병까지 먼 거리까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벼 고고학 연구로 작물화 비밀 밝힌 中 과학의 '힘'
2024.06.26
그 결과 벼 밑동을 잘라 수확하기 시작하면서 탈립성, 씨앗이 여물면 흩어지는 성질이
작은
변이체가 선택되기 시작했다. 이렇게 1만1000년 전부터 작물 특성을 지닌 벼를 본격적으로 재배하기 시작했고 고고학 유적지에 그 흔적을 남긴 것이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아시아의 넓은 지역에서 볏과 식물 ... ...
연세대 설치될 IBM 양자컴 모형…연기도 찍는 '퀀텀닷' 이미지센서 한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센서 분야에서도 활용된다. 양자점으로 불리는 퀀텀닷(QD, quantum dot)은 크기가 충분히
작은
입자가 에너지를 받았을 때 에너지 수준이 양자화(Quantization)되면서 크기에 따라 특정 빛을 내는 물질이다. 우리 주변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주로 사용된다. 국내 기업 SDT는 이 과정을 역으로 이용해 '양자 ... ...
스티커 떼어내듯…전자 소자, 기판에서 분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없어 전사 시간이 짧다는 장점이 있다”면서 “커다란 면적은 물론 마이크로 규모의
작은
패턴까지 전사가 가능해 활용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공동교신저자인 이 연구원은 “기존 연구와 달리 재료의 물성만을 제어해 무손상 건식 전사 프린팅 기술을 개발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 ...
'뉴런' 계산모델 60년만에 '업데이트'…"AI인공신경망 개선"
동아사이언스
l
2024.06.25
뉴런의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연구팀은 뉴런을 주변 환경에 다시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은
'컨트롤러'로 간주했다. 정보 처리 과정의 후반부에 있는 뉴런이 다시 초반부에 있는 뉴런에 '피드백'을 줄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이 개발한 새로운 뉴런 모델은 이전에 설명하기 어려웠던 몇 가지 생물학적 ... ...
[표지로 읽는 과학] 허리케인 지나간 뒤 사이 좋아진 원숭이들
동아사이언스
l
2024.06.23
제공 이번 주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표지에는 푸에르토리코 연안의
작은
섬에 사는 붉은털원숭이들이 가까이 모여있는 모습이 실렸다. 2017년 푸에르토리코에 상륙해 4600여명의 사망자를 낸 강력한 허리케인 '마리아'는 원숭이들이 사는 섬도 황폐하게 만들었다. 이후 원숭이들의 사이가 전보다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