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project
기획안
프로젝터
프로
연구과제
사업안
d라이브러리
"
프로젝트
"(으)로 총 2,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유학일기] 주 45시간 공부해도, 간신히 평균 성적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보이고 친해질 필요가 있다. 비단 추천서가 아니더라도 교수들은 여러 회사와 다양한
프로젝트
를 하고 있거나 직접 회사를 차린 제자들도 많아 관계를 잘 쌓으면 좋은 기회를 얻을 수 있다.교수와 친분을 쌓기 위해 반드시 연구를 함께 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수업 시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 ...
[포토뉴스] 천체관측 방해하는 인공위성 수학으로 손본다!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천체관측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조치하겠다고 발표한 이후 첫 번째 발사입니다.스타링크
프로젝트
는 스페이스X가 2020년대 중반까지 1만 2000대의 인공위성을 우주에 띄워 전 지구적 초고속 인터넷망을 구축하려는 사업입니다. 하지만 맨눈으로 보일 정도로 밝은 인공위성 빛은 천체관측 결과를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시험비행을 진행할 계획이다. X-59 퀘스트의 소음측정장치를 개발한 NASA의 케빈 바이너트
프로젝트
매니저는 “충격파가 만드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소음을 측정한 결과 예측값과 일치했다”며 “X-59 퀘스트는 기존의 초음속기보다 소닉붐으로 인한 소음이 훨씬 적을 것”이라고 ... ...
[스쿨리포트 A+] 과학실 안전과 연구 윤리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안전시설, 장비 설명서’와 ‘MSDS와 GHS 그림문자 안내도’를 만들어 공유하는 조별
프로젝트
를 진행하게 됩니다 ④ 과학교사의 TIP좋은 평가를 받으려면? 이론이 아닌 실습에 대한 수행평가인 만큼 정량평가보다는 정성평가(태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학생들은 1년 동안 사용할 과학실의 ... ...
[오일러
프로젝트
] 코딩 멋쟁이
수학동아
l
2020년 06호
...
[일본유학일기] ‘고등학교 4학년’ 거쳐야 비로소 시작되는 전공생활
과학동아
l
2020년 06호
꼭 해보길 바란다”며 다양한 활동을 장려하는 교수님들이 많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프로젝트
에 관심이 쏠렸다.나는 마음이 맞는 학과 친구 한 명과 팀을 짜 아이디어를 모은 뒤, 그 내용과 관련된 연구를 하는 학내 교수들에게 e메일을 돌렸다. 그리고 답변을 보내준 교수님에게 연구실 방문 허가를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로 등골이 짜릿~ 폴리매스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우리나라 청소년도 함께 문제를 푸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청소년 수학 공동 연구
프로젝트
인 폴리매스를 시작했어요. 지금은 문제가 다양하지만 처음에는 수학자처럼 아무도 답을 모르는 문제를 함께 해결하는 게 목적이었어요. 그래서 폴리매스 홈페이지 내 폴리매스 코너에서는 여전히 미해결 ... ...
[에디터노트] 과학이 위기를 넘는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2008~2018년) 가운데 가장 많은 투자가 그 해 이뤄졌다.미국항공우주국(NASA)도 같은 해 2004개
프로젝트
에 7억1458만462달러(약 8321억 원)를 투입했다. 이 역시 같은 기간 중 두 번째로 많은 금액이었다. 올 봄을 강타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병(코로나19)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보다 더한 경제 위기를 ... ...
텔레그램에 숨은 범죄자를 어떻게 찾아내나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있나?→인공지능(AI) 기술로 불법 콘텐츠 관리텔레그램의 성 착취 영상물을 신고하는 ‘
프로젝트
리셋(Project ReSET)’은 2019년 12월부터 성 착취 영상물과 불법 촬영물이 공유되는 텔레그램 채팅방을 찾아 신고하고 있다. 신고가 들어가면 텔레그램이 해당 채팅방을 차단한다. 이는 텔레그램이 불법 ... ...
지상망원경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위치한 거대 타원은하 M87에서 블랙홀의 모습을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관측했다. EHT
프로젝트
에 참여한 정태현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전파망원경의 분해능이 가장 뛰어나 블랙홀도 관측할 수 있던 것”이라며 “전 세계 곳곳에 있는 8개 망원경이 동시에 같은 천체를 관측해 구경이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