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천문박사
"(으)로 총 738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하 2백m인 미국 옐로스톤의 리디 온천. 햇빛, 산소, 탄소도 없는 환경에 물의 온도는 58℃. 이런 곳에 과연 생명체가 살 수 있을까. 미국지질조사회의 프랭크 채플 박사팀은 극한 환경의 리디 온천에서 특이한 미생물군을 발견했다고 지난 1월 17일자 ‘네이처’에 보고했다.암석에서 얻을 수 있는 ... ...
달까지 거리 재는 21세기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는 얼마일까. 지구 중심에서 달 중심까지의 평균거리는 38만5천km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한 과학자가 이 거리를 5년 동안 mm의 정확도로 재겠다고 나서서 화제가 됐다. 주인공은 미국 워싱턴대의 천문학자 톰 머피 박사로 지난 1월 16일 영국 BBC뉴스에 소개됐다.현재 달까지 ... ...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과학의 역사 속에서 여성은 왜 소수일까.여성과학자들을 둘러싼 사회문화적인 배경 속에서 그 답을 구할 수 있다.남성 중심의 과학계에서 여성이 과학자로서 살아남기 위해 어떤 고초를 겪어야 했는지를 살펴보자. 전세계적으로 과학기술 분야에서의 여성 활동을 진작시키기 위한 각종 정책들이 ... ...
눈과 손으로 함께 '보는' 책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봄부터 가을까지 온 산과 들을 가득 메우고 있던 꽃과 나무도 볼 수 없고, 동물을 구경하러 야외로 나가는 것도 여의치 않다. 까만 하늘에서 축복처럼 떨어지는 별똥별을 보고 싶지만 높은 산자락에 쌓인 눈을 보면 그도 어려울 것 같다.겨울은 과학과 별로 인연이 없는 계절일까. 하지만 겨울이라고 ... ...
1백년 전 시베리아 대폭발 새로운 설명 제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근 이탈리아 천문학자들이 거의 1백여년 전 시베리아의 외딴 곳 퉁구스카에 일어난 엄청난 폭발의 비밀을 풀었다고 주장했다. 일명 퉁구스카 사건은 1908년 6월 30일 이른 아침 거대한 폭발과 눈부신 섬광으로 시작됐다. 수천km2에 달하는 지역에서 6만그루 이상의 나무들이 불타고 넘어졌다. 폭발력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올해 최고의 천문현상은? 바로 사자자리 유성우다. 이 유성우는 평균 33년마다 대규모로 유성을 뿌렸다. 역사 속에서도 단연 돋보이는데, 1966년 한때 시간당 무려 10만개 이상의 유성이 비처럼 쏟아졌다. 그로부터 35년이 지난 올해, 또다시 대규모 유성비를 예고하고 있다.우리는 가끔 밤하늘을 가로 ... ...
조셉 니덤 중국의 과학과 문명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흔히 중국의 문명을 특징짓는 키워드로 ‘자존심’을 든다. 수천년 동안 동부 아시아를 실질적으로 지배했고 스스로 세계의 중심이라고 믿어왔던 까닭일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자존심에도 예외가 있었는데, 그것은 ‘중국에도 과학기술이 있었는가?’라는 사뭇 도전적인 질문이다. 중국 과학문 ... ...
하나의 은하가 여섯개로 보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하나의 은하를 6개로 보여주는 중력렌즈가 최초로 발견됐다. 영국 BBC방송은 지난 8월 30일 미국 펜실베이니아대 데이비드 루신 박사팀이 참여한 국제 천문학자 연구팀이 목동자리에서 이와 같은 중력렌즈를 발견했다고 보도했다.중력렌즈는 거대한 질량을 갖는 천체 주위로 빛이 지나갈 때, 중력에 ... ...
스티븐 호킹 필적하는 로저 블랜포드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제2회 고등과학원 천체물리학회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로저 블랜포드(Roger Blandford, 52) 교수를 9월 7일 만났다. 블랜포드 교수는 학계의 엘리트 코스를 밟은 세계적인 석학이다.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후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의 교수로 초빙받은 것. X선을 ... ...
외계 항성계에서 다량의 물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8호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은 지구저궤도 인공위성인 스와스(SWAS)를 이용해 지구에서 사자자리 방향으로 5백광년 가량 떨어진 ‘CW 레오니스(IRC+10216)’라는 적색거성 주변에서 보통 성운에서보다 1만배나 많은 물을 관측했다고 7월12일자 영국의 과학전문지 ‘네이처’에 발표했다.스와스 팀의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