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우주 공간은 눈에 보이지 않는 가스 물질로 채워
진
바다였기 때문에 은하는 은하단에
진
입하는 순간부터 서서히 녹기 시작한다. 우주 공간을 채우고 있는 유체의 역할은 최근까지 제대로 다뤄지지 않았다. 가시광선 관측으로는 보이지 않는 가스 물질의 존재를 다양한 파장대의 관측을 통해 직접 ... ...
[시사기획] 인류 80억명, 인구 위기는 다가오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상상합니다. 당연히 암울한 미래가 그려지기 쉽지요. 하지만 인구학자가 그리는 정해
진
미래는 항상 틀려왔습니다. 우리도 미래가 바뀔 수 있도록 변화할 사회의 모습을 고민해야 합니다. 저는 늦지 않았다고 봅니다 ... ...
‘
진
짜 산학협력’ 해보고 싶다면.... 창원대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창원 스마트산업단지에서 취업에 성공한 뒤 후배들에게 직접 교육을 하기도 한다.
진
정한 의미에서 산학협동이 이뤄지는 셈이다.*이 기사는 창원대의 제작지원을 ... ...
[메타버스 여행법] 점프 점프! 제페토에서 뛰어 보자, 팔짝!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선물을 드립니다. 참여 방법팝콘플래닛 > 플레이콘 > 어과동 놀이터 > 사
진
터에 댓글로 올리기. 7화 당첨자박서호 독자가 크리스마스 파티 이벤트에 참여했어요. 친구들과 즐거운 크리스마스를 미리 즐기고 있네요. 어때요, 친구들? 제페토의 재미있는 점프 게임으로 달려갈 준비가 ... ...
[수학히어로 출동! 슈퍼 M] 버스를 타고 떠나볼까?
어린이수학동아
l
2023년 01호
슈퍼M에게 새로운 미션이 도착했어요. 버스 번호에 숨겨
진
비밀만 알면, 쉽게 해결할 수 있는 미션이라는군요. 여러분이 슈퍼M과 함께 미션을 해결해 봐요! 미션 1. 어떤 버스를 타야 할까? 박동아 어린이는 서울시 중랑구에 살아요. 그런데 서울시 영등포구에 사는 이모네 집에 버스를 타고 ... ...
[특집] 양자역학적 순간이동...양자가 열어준 토끼굴 속으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특집] 양자역학적 순간이동Intro. 순간이동이 당연해
진
세상Part1. SF 속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Part2.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인포그래픽]. 양자전송과 양자암호통신Part3.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 순 없더라도Part4.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짚었습니다. 이어 “하지만 현재 실험실에서 구현하는 양자전송은 하나의 입자가 가
진
2차원 양자상태를 전송하는 수준”이라고 했습니다. “대규모 양자전송을 구현하더라도 물체를 찰나에 전달하는 순간이동과는 다릅니다. 왜냐면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A와 C 입자의) 양자얽힘 측정결과 정보를 ... ...
[기획] 결함에 0차원이 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분극이 같은 방향으로 나란하면 유전율이 낮아지고, 나란하지 않으면 유전율이 높아
진
것이죠. 유전율의 값이 달라지는 것이 ‘0차원 공허’가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 기술과 이어질 수 있는 지점이 됩니다. 우리가 기존에 사용하는 메모리는 메모리 소자의 저항 크기를 통해 0과 1을 구분해 두 개의 ... ...
[성
진
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체외배양을 준비하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인공 생명체를 만들 수 있을까요? 2월호에서 계속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필자소개성
진
우. 서울대 생명과학부에서 포유류 임신 시 유선줄기세포 발달과 유방암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오스트리아 분자생명공학연구소(IMBA)에서 줄기세포를 이용한 포유류 배아 인공 제작 및 합성을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쿼크’ ‘텔로미어’ 등을 자주 접하며 우주천문학, 물리학, 생명과학만
진
정한 과학이라고 오해했다. 어린 시절의 기준으로 보면 교통공학은 과학보다는 사회학에 가깝다. 인간의 필요로 이동 시스템을 만들고, 이동 시스템이 다시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더 좋은 이동 서비스를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