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증
증거
보증
확증
검증
확인
논증
d라이브러리
"
증명
"(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카르탕-아다마르 추측 풀렸을까?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증명
에 오류가 없는지 알 수 있습니다. 스프럭 교수는 “1년 반 동안 잠도 제대로 못자고
증명
을 완성했다”며 “대수기하학뿐만 아니라 여러 수학 분야에서 중요한 성과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아름다운 우주를 만든 작은 것들을 위한 時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수학자 앙리 푸앵카레가 천체가 3개만 돼도 일반해를 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증명
했습니다. 그 뒤부터 각각의 상황에 맞는 근사해를 찾는 연구가 계속돼 왔습니다.결국 다체문제의 근사해를 찾는 수학 모형을 적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덕분에 왜소은하가 은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될지 말이죠! 1 Q. CERN에서의 일과는 무엇이었나요?CERN은 오랫동안 이론적으로만
증명
됐던 힉스 입자를 검출한 세계적인 연구소예요. 힉스 입자를 검출한 대형강입자가속기(LHC)를 보는 게 제 주된 일과였죠. 둘레가 27km나 되는 원형 터널인 LHC는 기계적인 아름다움이 있거든요. 마치 하나의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도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다룬 논문도 수록됐다. 이로써 이 빛이 파장에 무관하게 온도가 같은 흑체복사임이
증명
됐다. 우주가 빅뱅 이후 급속히 팽창해 현재와 같은 차갑고 밀도가 낮은 우주로 진화해 왔다는 이론이 성립된 것이다. 피블스 연구원은 1966년 빅뱅 직후 1초부터 3분까지 우주에서 일어난 핵 합성 과정을 연구해 ... ...
[수학뉴스] 정수보다 작은 수 체계에서 쌍둥이 소수 추측은 참?!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논문 게재 사이트인 ‘아카이브(ArXiv)’에 올라왔습니다. 이전까지 쌍둥이 소수 추측
증명
에 가장 앞선 성과를 거뒀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교수는 이번 연구에 대해 “유한한 범위를 잘 이해할 수 있다면, 정수 세계를 훤히 밝힐 수 있을 것”이라 말했습니다.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수 없는 일로 여겨졌다. 이런 선입견을 깨고 처음으로 자기 복제 로봇을 논리적으로
증명
한 사람이 바로 컴퓨터의 아버지, 미국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다. 노이만은 연구 끝에 1951년 ‘세포 자동자’라는 모형을 고안했다. 이 모형은 여러 개의 튜링 기계를 2차원 격자형태로 나열했다. 하나의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구디너프 교수가 리튬이온이 삽입된 코발트산화물이 4V의 전압을 만든다는 것을
증명
한 게 1980년이고, 이를 바탕으로 요시노 교수가 최초의 상업적인 리튬이온전지를 개발한 것이 1985년이기 때문이다. 핵심 논문이 발표된 지 무려 40년 가까이 흘러 마침내 노벨상이 결정됐다.통계적으로는 노벨상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정합니다. 냉동 기간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건 세포 단위에선 이미 논문으로
증명
된 사실입니다. 한 예로 데이비드 스트론섹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 연구원팀의 실험을 들 수 있는데요. 액체 질소에 1일부터 5년 6개월까지 냉동 기간이 다른 백혈구 311개를 비교한 결과, 해동했을 때 정상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전파관측망으로 발돋움했다. KVN을 사용하기 위해 한국을 찾는 전 세계 과학자들이 이를
증명
하고 있다. 오충식 KVN그룹 선임연구원은 “1년에 두 차례 KVN 사용 신청을 받고 있는데, 신청자 중 80%는 해외 과학자들”이라고 말했다.KVN 연구원들은 이에 그치지 않고 한 발 더 도약을 앞두고 있다. 현재 ... ...
[수학뉴스] 새로운 관점으로 난제를 해결한 수학자, 윌리엄 서스턴
수학동아
l
2019년 10호
20년 후인 2003년 러시아의 수학자 그리고리 페렐만이 푸앵카레 추측과 함께 완벽하게
증명
합니다. 서스턴의 새롭고 독창적인 문제 해결 방식은 다른 수학자들에게도 영감을 줘서 오랜 시간 풀리지 않은 난제를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습니다.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세상을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