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좋은사람들"(으)로 총 3,178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2014년 크리스마스를 며칠 앞둔 어느 날, 노르웨이 남동부, 특히 오슬로 주변의 광활한 하늘에 ‘진주구름’이라고 부르는 기상현상이 나타났습니다. 당시 필자는 집에 있다가 창문을 통해 갑작스럽게 이 구름을 보게 됐죠. 일몰이 시작되고 약 30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 바로 카메라를 집어 들고 ... ...
- 할리갈리의 아버지 하임 샤피르수학동아 l2017년 07호
- 안녕하세요. 이스라엘에서 온 보드게임 개발자 하임 샤피르입니다. 저는 늘 창의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일을 해요. 처음에는 그 일에 공학이 적합하다고 생각해 공학을 전공했어요. 그렇게 2년 정도 엔지니어로 일하며 과일을 포장하는 용기를 만들었어요. 이후 더 창의적인 일을 하는 보드게 ... ...
- 얼꽝 용승이 인스타그램 스타 만들기 대작전!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정면은 얼꽝, 측면은 얼짱!딩동댕~ 정답입니다. 멋진 사진을 찍으려면 수학을 잘 해야 해. 오늘 알려 줄 비법도 전부 수학과 관련 있거든. 아참, 내 소개를 깜빡했네. 난 오늘 용승이를 인스타그램 스타로 만들기 위해 온 은지라고 해. 인스타그램 여신 은지가 왔으니 걱정은 붙들어 매도록. 지금부터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소금 논란이 뜨겁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5g 이하로 섭취량을 줄이라고 권고하는데, 최근 반대로 저염식(低鹽食)이 건강에 해롭다는 연구 결과가 잇따르고 있다. 어떤 소금을 먹는지도 중요하다는데, 과연 몸에 좋은 소금이 뭘까.“미국 국립의학학술원(NAM)에서 2013년에 보고서를 발표했을 때 소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김창규◈작가 및 번역가로,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상, 2 015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여러 지면에 SF 단편을 실었으며, ‘뉴로맨서’, ‘블라인드 사이트’, ‘이중도시’ 등의 외서를 번역했다. ... ...
- [수학뉴스] 올해 미국 최고의 직업은 통계전문가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진로를 고민하고 있나요? 통계에 관심을 가져보는 것도 좋은 선택이에요. 미국의 취업 정보 사이트 커리어캐스트가 이 분야에 대한 좋은 전망을 내놨거든요.4월 28일 커리어캐스트는 2017년 미국 최고의 직업은 통계 전문가라고 발표했어요. 미국 노동통계국과 노동부의 자료를 바탕으로 미국의 주 ... ...
- [Origin] 악인의 승리 VS. 선인‘들’의 승리과학동아 l2017년 06호
- 혈연 선택의 창시자 윌리엄 해밀턴에 당돌한 편지를 보낸 조지 프라이스. 그는 집단 선택에서도 작동하는 자신의 이론을 소개하며 해밀턴을 자극했다. 하지만 곧 두 사람의 이론이 크게 다르지 않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간단한 사고 실험을 해보자. 여기 ‘선한’ 사람이 있다. 착하고, 이타적이고, ... ...
- Part 2.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서울 한남동에 있는 ○○○, 대전에 있는 ○○○부터 프랑스 시골에 있는 빵집들까지! 기자는 맛있는 빵이 있다는 얘기를 들으면 일단 찾아가는 ‘빵순이’다. 이번 특집을 준비하면서 평소에는 쉽게 접할 수 없는 특별한 빵을 직접 만들어 맛을 봐야겠다는 결심을 했다. ‘세상에서 최초로 탄생한 ... ...
- [Future] 가짜 뉴스 꼼짝 마! 팩트 체크 인공지능 나선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세계가 ‘가짜’ 때문에 비상이다. 작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는 데 가짜 뉴스가 크게 기여했다는 분석도 나왔다. ‘팩트 체크’가 시대의 화두로 떠오른 이유다. 문제는, 체크해야 할 데이터가 어마어마하다는 것. 방법은 있다. 기계한테 맡기면 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은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광합성이 없는 세상을 상상해보자. 식물이 없고 양분을 연소시켜 에너지를 얻을 산소도 없는, 생명체가 살기 혹독한 환경일 것이다. 조류와 식물이 광합성을 할 수 있게 된 것은 모두 엽록체 덕분이다. 엽록체는 광합성이 일어나는 세포 속 기관으로, 한 때는 독립생활을 하던 남세균(Cyanobacteria)이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