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역"(으)로 총 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울대 공대|산업공학과] ‘불확실성의 시대’ 이끄는 학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원하는 것을 파악해 지금까지는 없던 새로운 산업을 만들어가는 것도 산업공학의 영역”이라고 말했다. 교수진 자동차 부품 표준화부터 스마트폰 디자인까지 산업공학의 대상이 모든 산업인 만큼 교수진 13명의 연구 분야는 매우 다양하다. 그러면서도 정부 주도의 선행 연구와 기업과의 협업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지난 8월 발표된 2022 학년도 대입제도 개편안에 따르면, 앞으로 국어와 수학, 그리고 탐구 영역에서 지금보다 과목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 단순히 인문계, 자연계로 나눠 이수하는 과목을 정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관심과 흥미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있게 됐다. 이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에 ... ...
- [수학뉴스] 잠자리 날개 무늬, 진짜 보로노이 다이어그램과 닮았을까?수학동아 l2018년 11호
- 만들어지도록 했지요. 보로노이 다이어그램은 특정 점들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영역을 다각형으로 그린 거예요. 결과를 비교해 보니 실제 잠자리 날개 무늬와 매우 비슷했답니다.곤충의 날개 무늬가 만들어지는 과정은 아직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어쩌면 수학이 큰 역할을 ... ...
-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배아 발달 과정은 이처럼 점진적입니다. 배아 연구, 왜 14일일까그런데 최근 과학의 영역에서도 인간 배아의 ‘나이’를 둘러싸고 토론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인간 배아 연구의 기본인 ‘14일의 규칙’에 대한 것인데요. 이제까지 실험실에서 인간 배아를 배양할 수 있는 기간은 수정 후 1 ... ...
- [팩트체크] 리만 가설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수학동아 l2018년 11호
- 약 41%의 실수 부분이 1/2 이라는 게 알려져 있지만, 더 이상 진전은 없고 실수 부분이 특정 영역 안에 속해있다는 걸 밝히는 ‘준리만 가설’을 푸는 것마저 무척 어렵습 니다. 준리만 가설은 자명하지 않은 해의 실수 부분이 0<a<1 같은 구간 안에 있다고 생각하고, 이 구간의 간격을 조금씩 줄이면서 ... ...
- [Tech] 5G 둘러싼 3가지 궁금증과학동아 l2018년 10호
- KT가 각각 100MHz를, LG유플러스가 80MHz 폭의 주파수를 할당 받았습니다. 28GHz 주파수 영역에서는 3개사가 동일하게 800MHz씩 주파수를 할당받았죠.5G 통신에서 사용하는 주파수의 특징은 주파수가 높고 영역(대역)폭이 넓다는 것입니다. 주파수는 초당 파동이 몇 번 진동하는지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 ...
- [과학뉴스] 치매 조기 진단, 한국인 표준뇌지도 나왔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이번에 개발한 진단기기는 뇌 전체를 80개 영역으로 나눠 영역별로 손상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뇌 이미지를 3차원(3D) 입체 영상으로 재구성해 뇌의 어느 부분이 손상됐는지 한눈에 볼 수 있다.이건호 조선대 의생명과학과 교수(치매국책연구단장)은 “초기 알츠하이머에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모두 가진 복합추진시스템이 있다면 활주로를 이륙해 저속에서부터 극초음속 영역까지 비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터빈 기반 통합 사이클(TBCC) 엔진’이라고 부른다. 터보제트엔진으로는 이륙부터 마하3까지 속도를 내고, 이후에는 램제트엔진과 스크램제트엔진을 이용해 대기권 내에서 마하5 ... ...
- [Issue] 뇌는 커지고, 얼굴은 작아졌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개인은 특정 분야에 더 전문적으로 바뀌었고, 그 결과 기억하지 않아도 되는 영역이 늘어났다”고 말했다. 부드러운 음식 탓, 안면부는 작아져 두개부는 진화 과정에서 점점 커졌지만, 안면부는 정반대로 줄어들었다. 여기에도 여러 가설이 있지만, 가장 유력한 가설은 음식의 변화다. ... ...
- 세살 기억 여든까지 간다?과학동아 l2018년 10호
- 피질에 있는 일부 뉴런들도 활성화됐다. 이는 기억이라는 작용이 해마뿐 아니라 뇌의 전 영역에 걸쳐 있다는 뜻이다. 프랭클랜드 교수는 “심리학자 프로이트는 성인이 되면 어릴 때 기억이 ‘잠겨’ 있지만 심리적 요법으로 다시 회복시킬 수 있다고 주장했다”며 “이번 연구 결과가 프로이트의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